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깨끗한오색조199
깨끗한오색조19923.05.19

한국의 중국향 수출무역 규모가 줄어들고 있는 것은 추세인가요?

한국의 중국향 수출무역 규모가 줄어들고 있는 것은 추세인가요?

이제 중국 수출규모는 작아져서 우리나라 경제가 흔들리는게 아닌지 걱정입니다.

정치적으로 된것인지 추세적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말씀 하신대로 중국향 수출량의 계속된 감소의 원인은 정치적인 원인보다는 추세적인 형태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중 양국간의 정치적인 갈등으로 촉발된 무역 갈등은 현재는 없는 상태이며, 중국향 수출 감소는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 감소가 가장 큰 원인입니다.

    코로나와 러-우 전쟁으로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가 시작되었고, 수요 감소로 인하여 전자제품의 소비가 급격하게 줄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반도체를 중국으로 가장 많이 수출하고 있는데 전자제품 수요 감소로 반도체 수출량이 급감한 것입니다. 또한 중국의 기술 발달로 인하여 점차적으로 수입에 의존하지 않고 화장품, 전자제품, 자동차 등을 자국내에서 보급할 수 있게 되어 우리나라의 중국향 판매 경쟁력이 상실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는 추세적인 수출 감소 형태로 신기술 개발이나 다른 판매 경쟁력 개선 요인을 확보해야될 시점으로 생각됩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한국의 중국향 수출무역 규모는 2022년도 3분기를 기점으로 하여 하향추세입니다.

    산자부의 4월 수출입동향 분석 자료에 의하면 반도체 수출 비중이 높은 중국(△26.5%), 아세안(△26.3%) 등에 대한 수출은 감소하였고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중국과 베트남의 수입수요 둔화가 이어지고 있는 점이 對중국과 對아세안 수출 감소에 주된 영향이라고 합니다.

    최근 수출 감소는 일본·대만을 비롯해 여러 국가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일본은 ’22년 4월 이후 10개월 연속으로 수출이 감소하였으며, 동기간 대규모 무역적자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고 IT 수출 비중이 높은 대만은 반도체 업황 부진 등의 여파로 지난 3월 수출이 △19.1% 감소하였으며, 대표적인 수출신흥국인 베트남 또한 지난 1분기에 △11.7%의 수출 감소를 기록하였고 합니다 . 다만, 중국은 자동차·철강 수출 확대, 對러시아·호주 수출 급증에 힘입어 3월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

    대수출 부진은 중국내 내수 부진과 중국의 한국 물품의 중국현지물품으로의 대체가 가장 큰 이유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무역협회 보고서 [최근 對중국 및 넥스트차이나 수출부진 요인과 시사점]에 따르면

    "對중국 수출 부진세가 심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수입시장은 점차 고부 가가치화되고 있으며, 이에 ➀하이테크 기계장비, ICT 품목 등 중고위·첨단기술 산업제품 위주의 수출 지원 사업 추진 강화 노력이 중요하다. 중국으로의 수출이 감소하고 있으나 수출에 따른 부가가치율은 금융위기 이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對중국 수출품에 수입 중간재 투입이 감소했다는 의미로 한국의 對중국 수출구조가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고도화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한국산 고부가가치 상품 수출이 늘어나는 만큼 중국 수요에 부합하고 상대적으로 중국의 국산화가 더딘 고부가가치 부품 분야 진출 확대가 필요하다." 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금액기준으로 보았을때 우리나라의 중국 수출액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인 것은 사실인데,

    국내 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분석이 있습니다.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의 거래에서 단기적 요인과 구조적 변화가 결부되면서 지난해 10월 이후 현재까지 무역적자가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의 반도체 수요 감소, 수입 중간재 국산화 등으로 대중 무역적자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이야기다.

    현재 우리나라 최대 수출액을 자랑하는 반도체의 수출금액부진(가격하락 등)이 큰 문제로 여겨집니다.

    감사합니다.


  • 1. 관세청에서 2023. 5. 15. 언론 배포한 보도자료에 의하면, 2023년 4월 월간 수출입 현황 [확정치]은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14.3% 감소한 496억 달러, 수입은 13.3% 감소한 522억 달러로, 무역수지 27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으며, 2023년 1월부터 4월까지 연간누적 수출은 2,009억 달러, 수입은 2,261억 달러로, 무역수지 252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1) 수출 현황은

    ㅇ 품목별 수출현황은 주요 수출품목 중에 전년동월대비 승용차 40.9% 증가, 선박 62.7% 증가하고, 반도체 40.5% 감소, 석유제품27.4% 감소, 자동차 부품 1.7% 감소, 무선통신기기 25.8% 감소, 가전제품 42.0% 감소하였으며,

    ㅇ 국가별 수출현황은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전년동월대비 유럽연합 9.9% 증가,중동 31.3% 증가하고, 중국 26.5% 감소, 미국 4.4% 감소, 베트남 29.6% 감소, 일본 21.1% 감소, 싱가포르 15.3% 감소, 대만 35.4% 감소하였습니다.

    2) 수입 현황은

    ㅇ 품목별 수입현황은 주요 수입품목 중에 전년동월대비 기계류 18.3% 증가. 승용차 29.0% 증가, 철광 3.6% 증가하고, 원유 30.1% 감소, 메모리 반도체 28.6% 감소, 의류 8.8% 감소하였으며,

    ㅇ 국가별 수입현황은 주요 수입대상국 중에 전년동월대비 유럽연합 4.8% 증가, 싱가포르 34.8% 증가하고, 중국 4.4% 감소, 중동 22.2% 감소, 미국 16.4% 감소, 일본 17.4% 감소, 호주 14.3% 감소, 베트남 19.1% 감소하였습니다.

    2. 수출입 특이사항으로는

    1) 2023년 4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4.3% 감소한 496억 달러로, 7개월 연속 감소(2022년 10월 5.8% 감소 → 11월 14.2% 감소 → 12월 9.7% 감소 → 2023년 1월 16.4% 감소 → 2월 7.6% 감소 → 3월 13.8% 감소 → 4월 14.3% 감소)하고 있으며,

    2) 국가별 수출 금액은 중국 26.5% 감소로 11개월 연속 감소(2022년 6월 0.8% 감소 → 7월 2.7% 감소 → 8월 5.5% 감소 → 9월 6.6% 감소 → 10월 15.7% 감소 → 11월 25.5% 감소 → 12월 27.0% 감소→ 2023년 1월 31.1% 감소 → 2월 24.2% 감소 → 3월 33.1% 감소 → 4월 26.5% 감소)하고,

    3) 국가별 수출금액은 미국은 4.4% 감소로 전환(2022년 9월 15.8% 증가 → 10월 6.5% 증가 → 11월 7.9% 증가 → 12월 6.4% 증가→ 2023년 1월 6.0% 감소 → 2월 16.2% 증가 → 3월 1.4% 증가 → 4월 4.4% 감소)하였으며,

    4) 반도체 수출은 9개월 연속 감소(2022년 8월 7.0% 감소 → 9월 4.9% 감소 → 10월 16.4% 감소 → 11월 28.6% 감소 → 12월 27.8% 감소 → 2023년 1월 43.4% 감소 → 2월 41.5% 감소 → 3월 33.9% 감소 → 4월 40.5% 감소)하고,

    5) 석유제품 수출은 2개월 연속 감소(2023년 2월 10.4% 증가 → 3월 18.3% 감소 → 4월 27.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 이처럼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국인 대중국 수출액이 지난해 2022년 6월부터 올해 4월까지 11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고, 반도체 수출도 지난해 2022년 8월부터 올해 4월까지 9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어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관세청 수출입통계 사이트를 통해 확인해보니 다음과 같습니다. (2020년~2023년 4월 기준)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있다는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아래와 같이 현재 중국으로의 수출입실적은 크게 변동이 없는 상황입니다.

    다만, 한국의 경우 중국이 한국의 1등 교역국임에는 변동이 없으며 이에 따라 수출이 줄어들게 되는 경우에는 우리나라의 무역수지 및 수출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현재 중국은 한국에 대하여 한한령을 다시 발동한 상태로 향후에는 수출에는 타격이 있을 듯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발표에 따르면, 2023년 4월 수출입동향은 자동차 수출 급증과 인프라 투자와 관련된 일반기계 등의 수출이 증가한 EU(+9.9%)와 중동(+30.7%)에 대한 수출은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다만, 반도체 수출 비중이 높은 중국(-26.5%), 아세안(-26.3%) 등에 대한 수출은 감소하였습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중국과 베트남의 수입수요 둔화가 이어지고 있는 점이 중국과 아세안 수출 감소에 주된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됩니다.


    전세계적인 경기 침체 및 금리이슈 뿐만 아니라 한국의 지정학적 요인도 수출감소세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