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지구 온난화로 빙하 속에 있던 박테리아가 인간에게 감염될 가능성이 높을까요?

남극이나 북극 속의 빙하에는 몇 만년 전에 살던 박테리아가 있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지구 온난화로 빙하 속에 있던 박테리아가 인간에게 감염될 가능성이 높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

    가능성이 높진 않으나, 충분히 가능합니다!

    빙하 속 동결되어있는 상태에서 빙하가 녹게되면서 다시 활성을 갖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감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지구 온난화로 영구 동토층과 빙하가 녹으면서 수만 년 동안 잠들어 있던 미생물들이 세상 밖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미생물들은 현대 미생물과 유전자 변이를 일으켜 현재의 인류 면역 체계가 전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병원균으로 진화할 수 있습니다.

    실제 이미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감염이 발생한 사례도 있는데, 2016년 시베리아 탄저균 유출 사건도 있었고, 2014년 시베리아 영구 동토층에서 3만 년 된 '몰리 바이러스 시베리쿰'이, 2022년에는 4만 8,500년 된 바이러스가 발견되어 여전히 감염력을 유지하고 있음이 확인되기도 했습니다.

    물론 현재까지는 빙하 속 고대 미생물이 인간에게 직접적인 대규모 감염을 일으킨 사례는 매우 드뭅니다. 그러나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되고 북극 지역의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고대 미생물에 노출될 기회가 늘어나고, 특히 오래전 매장되었던 천연두나 인플루엔자 같은 바이러스가 다시 활성화될 경우 인류에게 치명적인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빙하 속에 잠들어 있던 고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가 깨어나 인간에게 감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이론적인 가능성을 넘어, 실제로 발생한 사례도 있습니다. 2016년 러시아 시베리아에서는 영구 동토층이 녹으면서 드러난 순록 사체에서 탄저균이 퍼져 주민들이 감염되고 사망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처럼 수만 년 동안 얼어 있던 미생물이 기후 변화로 인해 다시 활성화될 수 있으며, 현대 인류가 겪어보지 못한 병원체일 가능성도 있어 더욱 위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