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아이언캐슬
아이언캐슬23.04.04

우리나라에서 쓰는 한자랑 중국에서 쓰는 한자는 왜 다른가요?

중국어를 배우고 있는데요, 한자가 우리나라에서 쓰는 한자랑 조금 틀린거 같아서요, 우리나라한자랑 똑같은것도 있는데, 중국한자는 전체적으로 약식으로 쓰는 느낌이 있어서요, 우리나랑에서 쓰는 한자랑 중국에서 쓰는 한자는 왜 다른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간체자는 중국어를 조금 쓰기 쉽게 하기 위해서 중국내에서 획순 간소화 작업이 이루어져서

    탄생한 글자 입니다.

    우리는 예전에 쓰던 한자를 계속 쓰고 있고

    중국에서는 획순이 간소화된 한자를 쓰고 있습니다.

    그래서 쓰는 중국어가 다릅니다. 확실한것은 구글링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과 중국의 한자는 역사적, 문화적 배경 등이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중국에서는 1956년에 간체자 (简体字)라고 불리는 약식한자를 도입하여 전통적인 번체자 (繁體字) 대신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간체자로 변형된 중국의 한자는 전체적으로 간결하고 굵은 선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한국에서 사용하는 번체자와는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중국의 한자는 한자 발음과 상관없이 한자 자모를 이용하여 표기하기 때문에, 한자의 형태와 발음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人"은 한국에서는 "인"으로 읽지만, 중국에서는 "렌"으로 읽습니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한자는 중국에서 사용하는 번체자와 비슷한 형태를 보이지만, 한국에서는 1946년에 한자 개혁을 통해 발음과 형태가 일치하도록 조정되었습니다. 또한, 한자와 한글의 혼용 사용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중국의 한자와는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중국에서 사용하는 한자와 한국에서 사용하는 한자는 역사적, 문화적 배경 등이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가 발음이나 형태 등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현재의 중국어는 간체로 많이 사용합니다.

    정자로 쓰게 되면 너무 복잡해서 어렵습니다.

    특히 많이 쓰는 한자는 간체로 만들어서

    인민들이 사용하기 편하게 하였습니다.

    많이 다른 모습이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