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의료 보험

가장잘먹는조랑말
가장잘먹는조랑말

정신과 진단서 말고 질병코드가 보이는 서류 뭐가있나요? 보험사제출용

실비청구하려는데 질병코드가 보이는 서류가있어야하는데 병원에서는 본인이 직접와서 떼야한다고합니다 방문할 시간이 없는데... 다른대체가능서류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정신과 진료 치료의 의료비는 급여부분만 보상이 됩니다 비급여 항목은 보상이 어렵습니다 만약 진로영수증이 비급여 항목이 많고 급여항목이 적다면 청구해도 보상금액이 적거나 없을 수 있습니다 거의 급여항목이라면 약처방전중 환자보관용에 가끔 질병코드가 있는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병원 방문이 어려우시면 처방전이나 진료확인서, 치료확인서 등에서 질병코드가 표기된 서류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약 처방전이 있다면 그 자체도 유용하고 의무기록지상 진단명 표기된 서류도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약을 처방받았을 경우 처방전에 질병분류기호가 있어 처방전을 제출하면 가능합니다.

    처방전이 없을 경우 병원에서 발급한 질병코드가 적힌 진료확인서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혹시 약처방을 받으셨다면 환자보관용 약처방전을 한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해당 서류에도 질병코드가 적혀있어 실비청구에 유용하게 쓰입니다.

    다만 의사의 소견이 들어가는 진단서,소견서는 직접 방문이 필수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치료확인서, 진료확인서, 약을 처방받았다면 환자보관용 처방전, 의무기록지상 진단명 표기 등 다양한 서류에서 진단명 및 코드가 이 확인 가능합니다.

  • 소견서나 입퇴원확인서, 진료확인서 등에 진단내용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이런 서류들도 병원에서 직접 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선생님께서 가입한 보험사의 담당자에게 서류를 떼어달라고 말하면 됩니다. 그것도 설계사의 업무 중 하나니깐요. 다만, 대리인이 가려면 위임장이 필요해서 선생님의 신분증 사본이나 위임장 등이 필요하니 설계사에게 문의를 하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