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유럽연합 무역협정이 우리 수출에 도움될까요
미국이 EU 제품에 15% 관세를 유지하면서 유럽차 관세만 낮추는 무역협정 발표했더라구요 우리 자동차나 부품 수출에 간접 영향은 없는지 실무 말고 일반 입장에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과 유럽이 맺는 무역협정이라는 게 직접적으로 우리나라 기업을 겨냥한 건 아니지만 결국 시장 구도에는 파장을 줍니다. 유럽차 관세를 낮추면 미국 내에서 유럽 브랜드 경쟁력이 높아질 테니 우리 자동차가 상대적으로 불리해질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기도 합니다. 반대로 미국이 유럽에 관세를 유지한다면 유럽 기업의 수출 부담이 커지고 우리 업체가 틈새를 노릴 기회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부품 쪽은 더 복잡합니다. 글로벌 공급망에 얽혀 있어서 한쪽이 이득을 보면 다른 쪽에서 밀려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 입장에서는 직접적인 혜택보다는 간접 영향이 애매하게 이어지는 상황이 많아 좀 헷갈리는 부분이 많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사실상 우리나라에 손해입니다. 기존에는 2.5% 관세 혜택을 받았으나 이제는 이러한 혜택이 사라지고 오히려 관세혜택을 받아야지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무역협상결과중 자동차 부분은 아쉽다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과 유럽연합의 무역협정이 직접적으로 한국에 적용되는 건 아니지만 시장 판도에는 영향을 줍니다. 유럽산 자동차가 미국에 더 저렴하게 들어가면 한국산 자동차와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고, 부품 쪽도 일부 수요가 유럽으로 쏠릴 수 있습니다. 반대로 미국 내 유럽차 점유율 확대가 한국 업체와 협력 기회를 늘릴 가능성도 있어서, 단순히 불리하다고만 보긴 어렵고 업계 대응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과 EU의 무역협상에 따라 관세가 15%로 낮아졌고, 우리나라의 경우 공식적인 미국측의 발표가 없지만 우리나라도 15%의 관세가 자동차에 대해 부과될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는 기존에 FTA 혜택에 따라 일본이나 EU보다 관세적으로 유리한 측면이 있었으나 이러한 이점이 없어졌다는 부분은 악재라고 볼 수 있습니다만, 일단 관세정책이 있는 상황속에서 여러가지 경쟁을 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