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부동산

향기로운 소심한 스컹크
향기로운 소심한 스컹크

부동산에서 건폐율과 용적률의 차이는?

부동산 공법상 건폐율과 용적률의 차이를 설명해 주세요. 초심자이기 때문에 쉽게 설명부탁드립니다. 부동산 지목별 가능 비율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건폐율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면적의 비율을 말합니다.

    200m2의 대지위에 80m2의 건물을 짓는다면 건폐율은 40%가 됩니다. 얼마나 넓게 지을 수 있느냐는 비율을 말합니다.

    건폐율이 적으면 녹지공간이나 조경공간이 많이 나오게 되어 쾌적성이 좋겠습니다

    용적율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바닥면적의 합이 됩니다.

    용적율이 300%라면 1층바닥면적이 200m2라면 3층까지 높게 지을 수 있다는 뜻이 됩니다.

    용적율이 높은 것은 높은 층수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수익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원지 공인중개사입니다.

    건폐율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을 말합니다. 즉, 건물 1층 바닥면적을 대지면적으로 나눈 비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평짜리 대지에 50평짜리 건물을 지었다면 건폐율은 50%가 되는 것입니다. 반면 용적률은 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의 비율을 말합니다. 여기서 연면적이란 각 층의 바닥면적 합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용적률이 높을수록 더 높게 지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건폐율과 용적률은 땅의 용도가 어떤것이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미지의 내용이 기본 건폐율 용적률이며 지자체의 조례에따라 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대박 공인중개사입니다.

    건폐율은 대지면적에 건축면적을 얼마만큼 할 수 있냐는 문제이고,

    용적율은 건축물 총 면적의 대지면적에 대한 백분율을 말하는 것입니다.

    즉 건폐율은 전체 면적에서 위에서 봤을때 몇평 정도 건축을 할 수 있냐는 문제이고

    용적율을 건축물 바닥 면적을 다 합친 면적이 총면적의 몇%인가를 따지는 문제입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공인중개사입니다.

    한자를 이해하면 좀 편합니다

    1) 건폐율 : 세울 건, 덮을 폐 ,

    - 건물을 위헤서 바라봤을 때, 전체 대지 넓이 분의 건물이 덮는 부분입니다.

    100평 중 60평 짜리 집을 지으면 60%

    2) 용적율 : 쓸 용, 쌓을 적

    - 건물의 각 면적의 합을 더한 것을 전체 대지 면적으로 나눈 것. (지하층 제외)

    - 1층 60평, 2층 60평, 3층 60평인 경우 = 180평 / 100평대지 = 180%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건폐율은 전체 토지 면적에서 건물을 지울수 있는 비율을 말합니다. 즉 100평의 땅이 있고 건폐율 60%라면 60평까지만 건물을 지울수 있습니다. 용적율은 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 비율로써 건축물 높이를 제한하게 되는 부분으로 연면적은 건축물 각 바닥면적의 합계를 나타냅니다. 즉 용적률200%, 대지면적100평 건축물 바닥40평이라면 해당 건축물은 5층까지 건축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용적율, 건폐율은 지목에 따라 정해진게 아닌 해당 용도지역에 따라 달라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