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22.12.02

밤 하늘의 별들의 밝음 차이가 나는 이유가 뭘까요?

밤하늘을 자세히보면 아주 밝은 금성이 있는가하면 흐릿하고 미세한 별들도 무쉬히 많은데 이들 별의 밝기 차이가 나는 이유가 뭔가요?

태양과의 거리? 별의 면적? 이런것과 연관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눈에 보이는 별들의 거리는 제각각 이며 별마다 내는 빛의 세기도 제각각 입니다

    더 멀고 빛의 세기가 강하면 밝게 빛나고 반대면 약하게 빛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별빛의 원천이 되는 별 자체가 가지는 핵융합반응 에너지의 크기 차이입니다.

    높은 온도로 밝은 빛을 내는 별은 지구에서도 밝게 볼 수 있는 반면 적색거성처럼 크기는 크지만 온도가 낮은 별은 별빛 또한 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지구와 거래도 지구에서 보는 별빛에 영향을 줍니다.

    높은 온도의 밝은 별이라도 지구와의 거리가 너무 멀다면 지구까지 도달하는 빛에너지의 양이 많지 않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밝음 차이의 이유는 지구와의 거리가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가까운 행성일 수록 더욱 밝게 보이게 되겠죠.


  • 별의 밝기를 결정짓는 것은 여러 요인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멀리 있는 별은 같은 세기라도 약하게 보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별의 수명이 다하게 되면 별이 내는 밝기도 약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별들이 같은 거리에 있다고 가정할 때 방출하는 에너지 또는 반사하는 빛의 양에 따라 밝기가 다를 수 있고 같은 양의 빛을 방출해도 거리가 멀게 되면 먼거리의 별은 더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와의 거리, 별의 크기, 별의 온도 등의 이유 때문에 더 밝게 빛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몇가지 이유가 있는데, 별이 발산하는 에너지 크기 자체가 다르고 거리가 다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