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삼겹살굽기
삼겹살굽기

면세공급가액과 과세공급가액이 같이 있다면 어떻게 안분하나요?

직전 과세기간의 비율로 계산하는지 당해 과세기간의 면세공급가액과 과세공급가액의 비율을 공통매입가액에 곱해서 매입세액 공제를 구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경영 경제전문가입니다.

    과세사업과 면세사업을 동시에 영위하는 겸영사업자의 경우, 공통으로 사용되는 재화나 용역의 매입세액을 안분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이는 과세사업과 면세사업에 공통으로 사용되며, 그 실지 귀속을 구분할 수 없는 매입세액을 과세사업과 면세사업에 적절히 배분하기 위함입니다.

    공통매입세액 안분계산 방법:

    1. 예정신고 기간(19월): 해당 예정신고 기간의 면세공급가액과 총공급가액을 기준으로 안분계산합니다.

    계산식: 공통매입세액 × (예정신고 기간의 면세공급가액 ÷ 예정신고 기간의 총공급가액)

    2. 확정신고 기간(112월): 과세기간 전체의 면세공급가액과 총공급가액을 기준으로 재계산하며, 예정신고 기간에 이미 불공제된 금액은 차감합니다.

    계산식: 공통매입세액 × (과세기간의 면세공급가액 ÷ 과세기간의 총공급가액) - 예정신고 기간에 불공제된 매입세액

    안분계산 생략이 가능한 경우:

    면세공급가액 비율이 5% 미만인 경우: 단, 공통매입세액이 500만 원 이상인 경우에는 안분계산을 해야 합니다.

    공통매입세액이 5만 원 미만인 경우

    해당 과세기간에 신규로 사업을 시작하여 직전 과세기간이 없는 경우

    이러한 경우에는 안분계산을 생략하고, 공통매입세액 전부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예정신고 기간에는 해당 기간의 공급가액을 기준으로 안분계산하고, 확정신고 시에는 과세기간 전체의 공급가액을 기준으로 정산해야 합니다.

    안분계산을 정확히 수행하지 않을 경우, 추후 가산세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공통매입세액의 안분계산은 당해 과세기간의 면세공급가액과 과세공급가액의 비율을 기준으로 수행하며, 예정신고와 확정신고 시 각각 해당 기간의 공급가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