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빼어난랍스타95
빼어난랍스타9522.04.06

두살 아이 언제 말문이 터지나요?

두살조카가 이제 단어를 제법 말하는데 아직 문장형 말은 하지 못합니다. 아이들은 언제쯤 문장으로 말을 하기 시작하나요? 요즘 제법 말을 많이하는데 단어도 말을 많이하고 이상한 소리?로도 말을 많이 합니다. 기대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기 아이들의 언어 발달은 다 다르게 진행이되며 보통 3돌때는 엇비슷해집니다. (질문자님이 물어본 문장도 이정도 시기에 완성이 됩니다.) 아이에게 말을 많이 걸어주고 지속적인 자극을 주시기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슬슬 말문이 터지는 시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조금더 지켜봐주시면

    조카 말이 금방 터질 것 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14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18개월은 말문이 트이는 시기라고 할 수 있는데요,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 의견을 말로 전달하기 시작합니다. 아직 두 살 이라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2살이면서 단어를 제법 할 줄알면 수용언어가 거의 다 이루어졌으며 하루가 다르게 말이 늘어갈시기입니다만..시국이 코로나시국으로 사람들이 말할 때의 입모양을 거의 보지 못하기 때문이 더디게 말이 트이고있을것입니다.

    같은 상황이라도 표현하는 언어가 다르기에 아이가 스스로 표현하는 언어를 선택하고 발현하기를 기다리셔야합니다.

    아이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면 상황에 맞는 표현언어를 그때마다 말해주고 따라서 말하도록 유도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단어를 말하기 시작하였다면 조금씩 문장을 완성하면서이야기할수있을것입니다

    이때는 언어의 발달이 폭발적으로 나타날수있기에

    집에서 부모님이나 혹은 가족들이 서로 이야기하면서 화용언어를 습득할수있도록 해주는것이 좋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

    언어에는 <표현언어>와 <수용언어>가 있는데

    쉽게 말하면 <말하기>와 <알아듣기 또는 이해하기>가 그것입니다.

    이러한 구별은, 아이의 언어발달에서 특히 더 중요한데요.

    말씀하신 조카아이의 언어발달에서

    특히 <수용언어>즉, 알아듣기가 말하기보다 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카아이의 언어발달이 정상적인 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이가 내 말을 알아듣고 있는지 체크해 보시는 게 더 중요합니다.

    <코 어디 있어, 눈은? 입은?> 하는 정도의 놀이가 좋겠지요

    만약 아이가 혼자서 단어를 꽤 말하더라도

    위와 같은 단순한 질문에 대해 지나치게 반응이 없거나

    <엄마 어딨어 ?>라고 물어도 돌아보거나 가리키는 반응을 전혀 못하는 경우엔 문제가 된다고 보셔야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언어의 마술사가 되는 시기는 25개월에서 36개월 사이 입니다.

    두살 정도 됐을 때 아이들이 문장으로 말을 하기 시작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마다 발달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빠르기도 하고 늦게 터지는 아이도 있으니 너무 걱정 마세요

    아이가 말을 짧게 한다면 엄마, 아빠는 덧붙여서 말을 꾸며 주면 좋아요

    예를 들어 아가가 '물' 이라고 말하면 '물이 먹고 싶구나 ' '무슨 컵에 물 줄까?'

    아이가 '코 자' 라고 한다면 '아가가 코 자는 구나' 라고 말을 이어가게 해주세요

    아이가 '이거 머야” 라고 말하면 '빨간색 색연필 말이니?' 식으로 명확하게 말해주어야 합니다

    아이들의 언어 발달은 말하는 것보단 듣고 이해하는 수용 언어가 선행되므로 다양한 단어를 듣고 이해할 기회를 만들어줘야 합니다

    아이에게 엄마, 아빠의 말을 이해 시키고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문장을 들려줘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아빠는 우리 OO가 양치질 좀 했으면 좋겠어” 라고 복잡한 문장보다는 “양치질 해라” 처럼 의미가 명확하게 전달되도록 말해주는 게 중요합니다

    아이는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부모님을 통해 언어 습관이 형성된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육아·아동 분야 전문가 김성훈아동심리삼당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8개월은 말문이 트이는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개월부터 표현할 수 있는 단어가 늘어나고 21개월에는 30개의 어휘를 구사할 수 있으며, 눈, 코,입 등 신체를 가리킬 수도 있게 됩니다. 24개월에는 3~4단어로 문장을 말할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그 시기쯤 되면 이제 아이가 슬슬 말을 하나둘 익히고 서서히 문장을 구사할 수 있게 됩니다 아이마다 편차가 있으니 너무 조급해하지 않으셔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