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 +와 -는 어떤 이유로 나뉘어지나요?
혈액형은 A B AB O형으로 나뉘며 RH +와-로 나뉩니다. 그래서 이 두 가지가 맞아야 원활한 수혈이 가능한데 RH +와 -는 어떤 이유로 나뉘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올려주신 내용은 잘 읽어보았습니다. 혈액형 중 RH +와 -는 무슨 차이가 있는 것인지 궁금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ABO 혈액형의 경우 적혈구 표면 당 구조에 따라 종류가 나뉘는 것이며 RH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단백질 항원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와 -로 나뉘게 됩니다. Rh-인 사람이 RH+ 혈액을 받게 된 경우에는 체내에서 항체가 형성이 되고 다음번 수혈을 하는 경우에는 위험해질 수 있으므로 RH를 파악하는 것도 수혈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궁금한 내용에 대해 조금이라도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h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있는 RhD 항원의 유무에 따라서 +와 -로 구분이 됩니다. 왜 그러한 항원이 존재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이유가 딱히 있지 않습니다. 인체가 원래 그렇게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적혈구에 다양한 모양의 뿔이 있다고 생각하면됩니다.
대표적으로 ABO형으로 나타내고 그 다음에 Rh 형입니다.
Rh -형은 Rh +형의 피를 받지 못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Rh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D항원의 유무로 나눠지는 데 D항원이 있으면 Rh+, 없는 경우가 Rh- 입니다.
우리나라 사람의 99.5%는 Rh+인 반면 Rh-는 0.5% 뿐입니다.
Rh+ 혈액형을 가진 사람은 Rh+와 Rh- 모두에게서 수혈을 받을 수 있으나 Rh- 혈액형의 경우 Rh+ 혈액을 수혈 받을 경우 면역 반응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Rh - 혈액을 수혈 받아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