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쉽게 말씀 드리면
기계공학 기술자 라고 확실히 대놓고 말하려면
기계공학과 를 졸업하면 됩니다.
여타의 다른 공학과라도 기계공학적 기술이 있고 관련 과목을 공부하면 기계공학기술자 라 할 수 있습니다
단적인 예로 저는 공조냉동기계공학을 전공했기에
기계공학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으나
공기조화 냉동공학 쪽으로 전공이지
기계공학 전체 적인 분야의 전공은 한게 아니기에
말씀하시는 기계공학전문가가 되려면
전방위적으로 공부하는 기계공학과 출신이 가장 범용적이라 하겠습니다.
기계공학과에서 배우는 분야는 너무 엄청나게 넓기에 사실 많이 힘들기도 한데요.
기계공학 자체가 중세유럽부터해서 역사가 엄청오래된 학문이고
근대화된 대학에서부터 교육하기 시작한 학문이기에
관련 커리큘럼(교육과정)이 아주 잘 짜여져있고 전세계 어느대학이든, 거의 어디든 비슷한 상황입니다.
기계공학은 기본적으로
4대역학 (동역학, 유체역학, 열역학, 재료역학) 에서 다루는 지식을 기본으로 합니다.
거기에
기계에 사용되는 재료가 어떤게 적절한가
기계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가 를 배우는 것으로
과거엔 산업현장/ 전자제품 공장 기계가 주류였다면
현대에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 공장자동화/ 스마트농업/ 자유주행 등
무수하게 많은 범위로 사용되는 학문입니다.
굳이 대학에서의 커리큘럼까지 살펴본다면
(대학 이전 교육과정에서 수학/ 미적분/ 기하학/ 물리학 정도는 습득을 해야하고)
1학년
일반물리, 미적분학, 통계학, 컴퓨터 프로그래밍, 공업수학1
2학년
선형대수, 열역학, 유체역학, 동역학, 고체역학 , 공업수학2/3, 기계설계
3학년
기계제작, 공정설계, 수치계산 공학설계, 유체기계, 계측시스템설계, 기계공작, 열동력
4학년
시스템설계, 유체기계설계, 탄성학 설계, 동력기계설계, 자동제어,
융합기계설게, 기계역학, 수송기계설계, 탄성학, 계측공학, 공기역학
등을 수강하는 과정으로 짜여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