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비둘기
비둘기24.03.28

북극의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이 상승한다는데 맞는말인가요?


흔히 지구온난화를 언급할때 패키지처럼 같이 하는말이 북극의 빙하가 녹아서 해수면이 상승하고 이로인해 지구의 생명체들의 삶을 위협한다입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기본적으로 물은 어느정도의 비율로 기화를 하기에 빙하가 녹는다하더라도 언론에서 언급하는수준으로 해수면이 상승한다라는것이 상상이 되지를 않습니다.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이 상승한다는 말이 근거있는사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북극의 빙하가 녹아서 해수면이 상승하는 것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인한 현상 중 하나입니다. 이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면서 빙하가 녹는 것이 원인입니다. 네 맞습니다. 빙하는 물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녹으면 물이 되어 해수면에 추가되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이게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의 주된 원인은 아닙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빙하가 녹는 것 외에도 해수면이 상승하는 다른 원인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빙하가 녹는 속도와 해수면 상승 속도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지구의 지형과 기후 조건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빙하가 녹아서 해수면이 상승하는 것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인한 현상이지만 이게 지구의 생명체들의 삶을 위협하는 것은 맞습니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해안 지역이 침수되고 해양 생태계가 변화하면서 생태계의 균형이 깨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북극의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이 상승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북극의 빙하는 대부분 바다 위에 떠 있으므로, 이 빙하가 녹아도 해수면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그러나 지구상에 있는 모든 빙하가 녹는다면, 이는 약 5,773만 km^3의 물이 해양에 유입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현재의 해수면 상승량에 비해 상당히 큰 양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체상태의 빙하가 다 녹으면 그 얼음물은 그대로 바다로 흘러들어가 해수면을 상승시킬 수 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온난화와 관련하여 북극 빙하 녹아 해수면 상승은

    자주 언급되는 주제입니다. 빙하가 녹더라도 실제로 해수면이 언론에서 보도하는 수준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지 의문이 제기됩니다.

    빙하 녹아 해수면 상승 과연 얼마나?

    빙하는 수백 년

    수천 년 동안 축적된 눈이 압축되어 형성됩니다.

    빙하의 크기는 빙하의 탄생 성장 융해 과정의 균형에 의해 결정됩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빙하 융해 속도가 증가하고 있지만

    빙하의 성장과 융해는 자연적인 과정입니다.

    빙하 녹아 해수면 상승은 해수면 상승의 주요 원인 중 하나

    이지만 유일한 원인은 아닙니다.

    해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해수 팽창 해수면 상승에 영향을 미칩니다.

    육지의 지각 변동 빙하 외의 얼음 융해 (예 녹지대 영역 확대) 등도

    해수면 상승에 기여합니다.

    현재까지 빙하 녹아 해수면 상승량은 연간 약 1.3mm

    정도입니다.

    이는 과거 해수면 상승 속도에 비하면 빠르지만

    언론에서 보도하는 수준 (예 100년 안에 해수면 1m 상승)보다는

    훨씬 느린 속도입니다.

    미래 해수면 상승량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주요 요인은 지구 온난화 속도 빙하 융해 속도 해수 온도 상승 속도 등입니다.

    이러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따라 미래 해수면 상승량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해수면 상승은 전 세계적으로 고르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지각 변동 해수 순환 등의 영향으로 지역별 해수면 상승량은 다를 수 있습니다.

    특정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더 높은 해수면 상승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해수면 상승은 해안 침식 홍수 염수 침투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해안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삶과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해수면 상승에 대비하여 적절한 적응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빙하 녹아 해수면 상승은 지구 온난화의 심각한 결과 중 하나입니다.

    지구 온난화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은 해수면 상승 속도를 늦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온실 가스 배출 감소 재생 에너지 사용 확대 등 다양한 노력을

    통해 지구 온난화를 대응해야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의 육지위의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이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빙하는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빙하가 녹으면서 그 물이 바다로 흘러들어가게 되어 해수면이 상승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의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이 상승하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보겠습니다.

    빙하가 녹는 원리: 북극의 빙하는 빙하와 빙하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빙하가 녹으면 물로 변하고, 이 물은 바다로 흘러갑니다. 이렇게 바다로 흘러간 물은 해수면을 상승시킵니다.

    상승 폭: 북극의 빙하가 모두 녹는다면, 해수면은 약 60~70m 정도 상승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지구상의 모든 빙하가 녹아도 동일한 양으로 예상되며, 지금까지 발견된 빙하의 양은 이론적으로 해수면을 약 70m 정도 상승시킬 수 있을 정도입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지구 온난화로 인해 빙하가 녹는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해수면 상승이 일어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