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포진 1형이 2형으로 어떻게 옮겨가나요??
최근에 피곤해서인지 입술이 붓고 수포같은 게 생격서 병원에 가보니 단순포진 1형이라고 하시더라구요. 그러다가 입술에 물집이 터지고 손으로 만졌는데, 그 손으로 생식기를 만지면 2형이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단순포진 바이러스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습니다. 1형은 주로 입 주변에 영향을 미치고, 2형은 주로 생식기 주변에 나타납니다. 질문자분께서 궁금해하시는 부분은 1형이 2형으로 어떻게 옮겨가는가에 대한 것인데, 단순포진 바이러스는 유형 간에 명확한 경계를 가지면서도 특성을 공유합니다.
일반적으로 1형 감염이 있는 부위를 손으로 만진 뒤 생식기를 만지면 2형 감염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그러나 손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가능성이 아주 없지는 않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포진이 있는 부위를 만졌을 경우, 철저하게 손을 씻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씻지 않은 상태로 다른 부위를 만지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바이러스의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단순포진 1형(HSV-1)은 주로 입술이나 얼굴 주위에 생기는 수포성 감염이고, 2형(HSV-2)은 주로 성기 주위에 발생하는 포진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두 바이러스는 서로 다른 바이러스 종류이긴 해도, 감염 부위에 따라 구분되기 때문에 HSV-1도 생식기에 감염될 수 있고, 반대로 HSV-2도 입술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즉, 입술에 HSV-1이 있는 상태에서 손으로 병변을 만지고 그 손으로 생식기를 만지면, 자가접종(self-inoculation)을 통해 HSV-1이 성기 부위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는 ‘2형’으로 바뀌는 게 아니라, 1형이 성기 부위에 감염되는 거에요
따라서 바이러스의 "형"이 바뀌는 건 아니고, 같은 바이러스가 다른 부위로 퍼지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이 때문에 단순포진이 있을 때는 손을 잘 씻고 병변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수포가 터진 상태에서는 전염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자가접종이나 타인에게의 전파 가능성이 커집니다. 생식기에 HSV-1이 감염되면 통상 HSV-2보다 재발은 덜 하지만, 처음 감염 시에는 불편함이 클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