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고귀한게논239
고귀한게논239
23.05.28

적정 인플레이션은 몇 퍼센트 인가요??

적정 인플레이션은 몇 퍼센트 인가요??

제가 알기로는 2%대로 알고 있는데요. 월급도 매년 2% 인상이 있어야 하는거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두이랑88
    두이랑88
    23.05.29

    안녕하세요. 임병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실 적정 인플레이션률은 얼마다라고 딱 정의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미국이 2%를 목표로 삼고 있기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다수의 국가에서 2%를 목표로 잡고 있습니다.

    적정 인플레이션률은 적정 고용하에서 지속적으로 경제가 발전될 수 있는 수준의 물가상승률 정도로 인식할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것과 같이 2~3%대를 적정 인플레이션으로 가정합니다.

    이는 적정한 인플레가 있어야 경제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며

    그 이상으로 넘어가면 경제 위기 상황이 발생 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님이 알고 계신대로 한국은행은 2프로대 인플레이션을 목표로 기준금리 조정을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네, 맞습니다.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인플레이션 타겟팅)가 2%이며, 물가상승률 2%를 목표로 통화정책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지금까지의 적정 인플레이션 수치는 약2%였습니다. 이는 절대적인 수치는 아니며 경제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대부분의 국가에서 적정 물가지수는 2%입니다. 2%를 넘어가면 금리 인상 등 각종 통화정책을 펼칩니다.

    다만, 기업의 임금 인상은 기업의 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5.28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추구하는 적정 인플레이션은 2%입니다. 그 이유는 2% 미만이 되면 경기가 침체될 확률이 높고, 2% 이상이 되면 경기가 과열될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경제의 성장률과 비슷한 수준으로 물가가 상승하면 정상적인 경제 성장을 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현재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1.6% 정도로 보고 있는데 물가는 이 이상으로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물가를 잡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 반면에 개발도상국은 경제성장률이 더 높기 때문에 물가상승률도 더 높은 것이 적절하게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거의 대부분의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율을

    2%를 목표로 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적정 인플레이션율은 2%대로 보시면 되는데, 미국을 비롯해서 우리나라의 정부 모두 2%대의 인플레이션율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의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서 금리인상을 하였던 것이며, 향후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이 2%대에 도달하게 된다면 경기침체의 우려에 의해서 금리인하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