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택조합(지주택)은 사기인가요?
요즘 지주택 조합원 광고가 많이 보여서요
찾아보니까 사기라는 사람들도 많더라고요
지주택의 장점은 싸게 집을 분양할 수 있다는거 같던데
단점에 대해서 자세히 서술해주실수 있으실까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지역주택조합이란 일정 지역에서 거주하는 다수의 구성원이 주택을 마련하기 위해 결성하는 조합으로 무주택이거나 주거전용면적 85m2 이하 1채 소유자인 세대주의 내 집 마련을 위해 일정한 자격 요건을 갖춘 조합원에게 청약통장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주택을 공급하는 제도입니다.
단점으로는 홍보과정에서 주변 시세 대비 파격적인 가격으로 과장 광고하는 경우가 많으며 지주택 특성상 사업 진행 과정에서 추가 분단금이 수차례 부과될 수 있으니 조합원 모집을 위해 가격을 낮춰 홍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역주택조합은 사업의 변수가 많기 때문에 완공이나 입주 시기보다는 착공 예정 시기에 더 주안 점을 두어 홍보합니다. 지역주택조합은 조합원이 사업 진행 전반에 대해 책임을 지는 사업이기 때문에 한번 가입하면 임의 탈퇴는 어렵습니다. 단순 변심에 의한 탈퇴의 경우 일정 금액의 위약금을 지불하는데 위약금 액수가 상당하여 지주택을 마음대로 탈퇴하는 경우는 많이 없습니다.
단점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신중하게 접근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지역주택조합 중에서 2004년부터 최근까지 사업 성공(준공)한 비율은 17% 정도라고 합니다. 더욱이 인기 높은 서울 등 대도시에서는 성공률이 5% 정도에 불과하다고 하니 성공률이 매우 낮은 편입니다. (매일경제 기사참조: https://www.mk.co.kr/news/economy/11018761) 토지를 가지고 시작하는 재개발/재건축과는 달리 토지가 없는 상태에서 95%까지 토지 소유권을 확보 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최근 PF 부실 사태로 대출 승인도 어려워 더욱 진행이 힘든 상황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지주택의 장점은 말씀하신대로 싸게 구매가 가능하다는 것이고, 단점은 그 사업진행이 너무 더디고 중간에 사업을 중단할 수도 있어 자금이 묶힐 확률이 높다는 것입니다. 지역 조합원들끼리 의견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사업이 지지 부진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업진행이 어렵고 또한 계속적인 분담금 요구로 중간에 해지하기도 곤란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오죽하면 원수에게 권하는 것이 지주택이라는 말도 나올 정도 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모두다 그런것은 아닙니다. 지주택도 성공사례가 꽤 있고, 현재까지도 여러 군데에서 지주택사업이 진행중에 있습니다. 물론 일반적인 재건축에 비해 사업진행상 어려움이 많은 게 사실이나, 꼭 사기라고 단정하여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지역주택조합이 사업진행에 실패하는 가장 큰 이유는 개발토지의 확보가 처음 조합원 모집때와 다르게 순조롭게 진행되기 어렵다는 점 때문인데, 이러한 이유는 재건축조합처럼 토지를 소유한 사람들이 모여 개발사업을 진행하는게 아닌, 개발토지를 구매하여 개발을 하기 떄문입니다. 토지확보를 마치고 개발사업을 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들은 재건축사업에도 나타날수 있는 부분이기에 크게 다르지 않지만, 지주택도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어 성공한 사례도 적지 않기 떄문에 무조건 사기라고 하기보다는 조합원 참여시 토지확보에 대한 사항과 해당 부지사업성등을 꼼꼼하게 확인하고, 계약을 진행하시면 질문처럼 시세보다 저렴한 조합원 분양가가 새 주택을 확보하실수 있는 사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