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통화가 약세가 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현재 한국의 통화가 어떤 통화와 비교해도 약세라고 하던데 정말인가요?
우리나라 통화가 위기라는데 이게 어떤 이유 때문에 원화가 약세인 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가 위기라는 표현은 다소 과장일 수 있으나, 약세가 지속되는 경제적인 이유는 우리나라의 대외 투자 때문입니다. 관세합의 때는 국가단위 또는 기업의 투자도 있지만, 국내 개인 및 기관 투자자의 해외 직접투자로 인해 환율 상승의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국내 통화의 위기는 과장된 표현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외 주식투자는 개인 투자자(서학개미)와 기관 투자자의 해외 증시 투자 열풍에 힘입어 사상 최대 규모를 지속적으로 경신하고 있습니다.(환율상승의 주요 원인)
해외 증권투자 잔액은 9월말 기준 1조 2,140억 달러로 3분기중에만 800억 달러가 증가했습니다. 우리나라 외환 보유고가 4000억 달러인데 거의 1/4 규모가 3분기에만 해외로 나갔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한국 경제의 성장 둔화와 수출 부진 등 대외 불확실성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의 자본 유출과 국내 경기 저조에 따른 투자자 신뢰 하락이 원화 약세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국 원화가 약세인 이유는 복합적인데요 우선, 미국 달러 강세로 금리 차가 확대되면서 자본이 달러로 빠져나가고 원화 수요가 약해졌습니다. 또한 수출 부진으로 외환수입이 줄고, 에너지 수입비용이 높아져 원화를 팔아 달러를 구매하는 수요가 늘었구요 국내 성장 둔화와 투자심리 약화도 큰 요인입니다.
전체 적으로 본다면 원화는 여러 주요 통화에 비해 약세이며, 이는 단순한 위기가 아니라 구조적이고 정책적 요인이 겹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 약세의 원인으로 요즘 시장에서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것은 개인·기업·연기금으로 이어지는 ‘달러 사냥’입니다. 한국 경제에서 빠져나가는 달러 유출 규모와 속도가 주요 국가 대비 압도적으로 빠르고 심각하기 때문이죠. 수출로 벌어들인 달러가 다시 해외투자로 빠져나가는 구조가 고착되며 환율의 결정 요인이 ‘자본 이동’으로 옮겨갔다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고름리, 강달러 환경에서 신흥국 통화가 전반적으로 약세이며 원화도 동일한 영향권입니다.
한국은 수출 경기 둔화와 지정학 리스크가 맞물려 외국인 자금 유입이 제한된 상태입니다.
이로인해 원화가 상대적으로 약세흐름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통화가 약세가 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이유 중에 하나가
바로 미국과 한국의 기준 금리 차이가
제법 많이 나고 이게 오래 유지되기 때문이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