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휴일·휴가

철저한바구미141
철저한바구미141

임원급 근로자의 토요일 자발근무시 휴가대체 방법 및 연차수당 계산 문의

연차수당 계산중에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문의대상에 해당하는 직원은 현재 상무이사 직급/본부장레벨 직원이며,

별도의 사전승인 신청 없이 자의적으로 출근해 작년 6월 토요일(계약서상 무급휴무일)에 출근한 이력이 있습니다.

(출근기록은 있으나 퇴근기록은 남아있지 않으며 근로자측에서 업무일지는 남겨놓았습니다.

또한 사측에서 노무수령거부의사는 표하지 않았습니다.)

현재 근로자 대표와 사측이 동의한 계약서상에는

휴일근로는 사전계획대로 실시하고 차주 근무일중 1일을 휴일로 사전에 대체하기로 계약서에 기재해놓았습니다.

사전에 연장신청한 고정연장시간 초과근로시에는 통상임금의 1.5배의 수당을 지급하는 문구도 들어있습니다.

1. 우선 관리감독자 레벨에 해당하는 직원의 경우에도 근로기준법에 따라

대체유급연차나 가산수당 지급 적용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2. 더불어 당시 노무수령 거부의사가 없었다면 계약서상 합의한 사항과 다르더라도

토요일 근무한 것에 대해 대체유급휴가 변경적용을 무조건 해주어야 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3. 혹은 노무수령거부의사를 표명하지 않은 이상 실질적으로 근무했다는 기록만 남아있다면

직급이나 계약서상의 조항과 관계없이 특별수당 명목이든 특별휴가 형식으로든

근로시간에 대한 보상을 지급해야 하는 의무는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이경우 7월에 사용한 휴가는 연차수당 계산시 연차사용일로 치고

토요일 근무에 해당하는 노무비는 별도로 협의해야 하는 사항인지, 의무가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