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쾌활한불독272
쾌활한불독27223.05.23

이온교환수지로 증류수를 만드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보통의 물을 이온교환수지를 통과시켜서 증류수로 만드는 것을 보았는데요

어떻게 보통의 물이 이온교환수지를 지나면 증류수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온교환수지의 반응은 가역반응(Reversible reaction)이기 때문에 농도가 높은 쪽에서 반대 편으로 반응이 이루어 진다. 이러한 원리로 상기 사례와 같이 Target ion인 Na 이온을 제거한 후, 재생 공정을 통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이온형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이온교환수지를 지나면 증류수는 이온을 가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온 교환은 이온 교환 수지를 통해 이온들을 분리하고 교환하는 과정입니다. 이온 교환 수지는 일반적으로 음이온 교환 수지와 양이온 교환 수지로 구성됩니다. 증류수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이온 교환 수지는 주로 음이온 교환 수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음이온 교환 수지는 수소 이온(H+)을 수지에 흡착하고, 대신에 물 분자의 음이온을 방출합니다. 이렇게 수지에 흡착된 수소 이온은 증류 과정에서 물 분자들과 반응하여 순수한 증류수를 생성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속에는 여러가지 물질이 이온화 되어 포함되어 있습니다.

    물속에 포함된 이온은 +전하를 띠는것과 -전하를 띠고있습니다.이온교환수지는 고분자 화합물로 만들어지며 양이온수지와 음이온 수지로 나눕니다.

    물을 양이온 수지를 통과 시키게 되면 물속에 존재하는 음이온 성분의 물질이 양이온 수지에 흡착하고 음이온수지를 통과 시키면 양이온 물질이 수지에 달라붙게되므로 순수한 물이 됩니다.이렇게 만든 순수는 전기가 잘 통하지 않습니다.

    수지의 종류는 음이온에서도 강. 약. 양이온도 강, 약으로 여러가지가 생산되며 각각 용도에 따라서 사용 합니다.

    이온교환 수지를 어느정도 사용하면 교환 능력이 떨어지므로 수지 재생처리를 합니다.계속적으로 재생처리를 하고 사용하다보면 수지의 수명이 다하면 수지를 교환하여 줍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온교환수지는 이온 교환을 위해 설계된 특수한 재료입니다. 일반적으로 이온 교환 수지는 음이온 교환 수지나 양이온 교환 수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음이온 교환 수지는 주로 이산화탄소(CO2), 황산, 질산, 염소 이온 등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고, 양이온 교환 수지는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등의 긍정적인 이온을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물은 이온교환수지로 통과될 때, 이온 교환 과정이 발생합니다. 이때, 이온교환수지는 물 속에 존재하는 이온들을 흡착하고, 동시에 그 자리에 있는 수지 내부의 이온들을 방출합니다. 따라서 물이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하면서 이온들이 수지에 의해 흡착되고 제거되는 과정이 진행됩니다.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한 물은 이온들이 제거된 상태로 정화된 상태가 됩니다. 이렇게 얻은 물은 증류수에 가까운 순수한 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이때, 물의 순도는 이온 교환 과정에 사용된 수지의 특성과 효율, 이온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증류수를 만드는 원리

    증류수는 증류기로 증류하여 정제한 물로써 보통의 증류로 얻은 물의 비저항은 0.2MΩ·cm 정도입니다.

    순도가 높은 증류수를 얻는 데에는 석영 유리제의 증류기를 써서 저온으로 여러 번 증류를 되풀이 하거나 이온 교환수지로 처리한 물에 과망간산 칼륨을 가하여, 석영 유리제 증류기로 증류하여 만듭니다.

    끓는점 이하의 온도에서 증발시켜, 냉각시킨 다음에 얻는 방법도 있다(서브보일링법). 증류수는 각종 시험액, 제제 등에 쓰이지요.

    2차증류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아니지요 있답니다.

    1차 증류수는 말 그대로 끓여서 수증기가 된 물을 다시 식혀서 얻은 물입니다.

    사용예) 일반적인 화학실험에 사용하지요.

    2차 증류수는 이렇게 얻어진 1차 증류수를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필터에 통과시킨 물이고요. 하지만, 1차 증류수를 이용하지 않고 그냥 물을 필터시스템에 한번 통과시킨 후 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키기도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사용예) 조금더 정확한 실험을 하기위해??...분석화학쪽에 사용하던가....ㅋㅋ;;;

    3차 증류수는 좀더 미세한 필터를 이용해 2차 증류수를 통과시켜 물이 18.2 megaohm이 되도록 한 후 사용하는 물입니다.

    사용예) 기기분석화학에서 UV/Vis 실험시 사용합니다. (제가 사용해봤어요! ^^ )

    암튼, 이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다른 수용액 속의 이온과 자신의 이온을 교환하는 합성수지다. 음이온 교환수지와 양이온 교환수지가 있는데 양이온 교환수지의 작동원리는 일반적으로 R-SO3… Na + Ca2+ → R-SO3… Ca + Na+인 설폰산기 양이온 교환수지를 사용하는데 원래 Na가 붙어 있지만 Ca이온이 녹아 있는 용액을 넣으면 Ca 이온을 흡착하고 원래 가지고 있던 Na 이온을 수용액 속으로 방출한다. 양이온 교환수지는 센물을 단물로 바꾸는 연수화에 사용되거나 물을 정화할 때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