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실금에 대해 궁금합니다. 설명해주세요
변실금이란 갑자기 변이 그냥 흘러 나오는걸 말하나요? 방귀를 뀌려고 하다가 변이 나오는것도 변실금이라고 하나요? 정확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변실금도 세부적으로 나뉘지만 화장실에 도착하기 전 또는 본인이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변이 세어 나올 경우를 변실금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변실금은 대변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나오거나 참지 못해 옷에 실수하게 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기침이나 방귀를 뀔 때도 변이 나오는 경우도 포함됩니다. 4세 이상에서 3개월 이상 반복적으로 배변을 조절하지 못하는 상태가 지속되면 변실금으로 진단됩니다. 항문 구조 예시로는 직장 내괄약근, 외괄약근, 항문 등이 있습니다. 변실금의 원인에는 항문 점막의 감각 이상, 항문 수술 등의 손상, 외상, 변을 참아 직장에 가득 차는 분변 매복 등이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 다산하거나 난산을 했을 때 변실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외음부 신경 장애, 괄약근 손상, 변비, 중추신경 장애, 말초신경 장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변실금은 당뇨나 뇌경색 같은 만성질환자나 노인에게 흔히 발생하며, 65세 이상에서 주로 나타나며 환자의 67%는 여성입니다.
변실금의 중증도는 변의 종류와 조절하지 못하는 빈도, 패드나 기저귀 사용 빈도,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수동적 변실금은 본인도 모르게 변을 보거나 속옷에 묻히는 경우, 절박성 변실금은 변을 참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진단 방법으로는 항문 초음파, 항문직장 내압 검사, 배변 조영술, 근전도 검사, 음부신경 말단운동근 잠복기 측정법, 자기공명검사 등이 있습니다.
치료는 식이 요법, 약물 요법, 회음부 운동, 바이오피드백 치료, 전기 자극 치료, 수술적 치료 등이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로는 1차 괄약근 교정술, 괄약근 성형술, 후방 항문 교정술, 인공 항문 괄약근 조성술 등이 있으며, 각 방법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됩니다. 변실금을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삶의 질 저하와 우울증 등의 정신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항문 피부 자극이 계속되어 항문 소양증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항문 주변에 남아 있는 대변으로 인해 피부 감염, 방광염 등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으로는 음식 섭취 일지를 작성하여 변실금을 악화시키는 음식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사를 유발하는 음식과 음료, 소시지나 햄 같은 가공육, 유제품, 특정 과일, 무설탕 껌, 사탕, 초콜릿, 주스 등에 포함된 감미료 등을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량씩 자주 음식을 먹고, 먹는 것과 마시는 것을 분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충분한 섬유질을 섭취하여 변을 부드럽고 덩어리지게 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여 변이 건조해지는 것을 막는 것이 좋습니다. 물을 마시는 것이 가장 좋으며, 카페인, 알코올, 우유, 탄산음료가 설사를 일으킨다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질병의 정의 자체는 단어와 같습니다
배변의도와는 상관없이 변을 보는 것을 말합니다
괄약근의 해부학적 손상 혹은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