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택을 하게 될때 어떤 걸 체크하고 주의해야할까요?
지인이 지주택은 하면 안된다고 신신당부를 하더라구요. 사기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지주택을 투자하려 한다고 할때 어떤 점을 주의해야할까요? 꼭 체크해야하는 점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지주택의 경우 이미 지어진 주택을 매매하는 것이 아니기에 잘 확인한다고 해도 계획상 변동이 생길 가능성이 큽니다 . 무엇보다 지주택의 가장 큰 문제는 토지확보가 계획대로 되지 않아 착공이 지연되어 추가적인 비용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지주택에 조합원으로 가입을 하신다면 해당부분을 잘 확인하시고 진행하시는게 좋을듯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지역주택조합아파트는 아파트를 건축하기 위해 조합원을 모집하여, 조합원이 납부한 금액으로 해당지역 주택 및 토지를 매입하여 사업을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80%이상 토지사용승낙서 확보하면 지구단위계획수립과 건축심의를 신청합니다. 95% 대지 소유권을 확보해야 사업계획승인을 받을 수 있고 토지 100% 확보가 되어야만 드디어 착공이 가능합니다.
지역주택조합방식은 토지와 건물 소유권이 없는 상태에서 개발이 진행됩니다.
장점도 많지만 현재까지는 단점이 더 많은 지역주택조합 진행상황은 지차체에 문의하여 확인해 보세요.
지인의 지인의 의견을 따르기를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철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경기 안좋을때 지주택안하시는게 좋습니다
일종의 사업이라 토지매입에 따른 시간 차후 분양성공여부에 따라
추가분담금 폭탄받을수 있습니다 지주택은 속도전입니다
늦을수록 금융비용은 조합원이 부담합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지주택 조합원에 가입을 원하신다면 관할 관청 주택과에 전화를 하여 사업진행정도를 파악한 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최소한 조합설립인가가 되어야 투자 가치가 있고 그 전 상황이라면 가입하지 않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지역주택조합은 무엇보다 토지수용이 완벽하게 이루워졌는지가 중요하고 건설경기 또한 호황이여야 합니다.
개인적으로 지주택은 추천도 드리지 않고 중개 역시 하지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