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말쑥한라마카크231
말쑥한라마카크23123.08.11

팩스의 원리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요즘은 사진을 찍어서 바로 보낼수 있으니 잘쓰지 않지만, 예전에는 팩스를 굉장히 많이썼는데요

이러한 팩스는 어떤 원리로 작동이 되었나요?

전화선을 통해서 팩스가 전달되는것 같은데 어떤 원리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단정한너구리141입니다.

    팩스밀리의 원리와 역사

    요즈음 인터넷의 발달과 미디어의 확장으로 인해 팩스만 따로 사용하는곳이 줄고 있는 실정입니다. 특히나 기존의 전통적인 팩스밀리에서 인터넷팩스로 점점 바뀌어가는 추세인데 사실 이것은 전화보다 더 먼저 개발된 기기로서 처음 이기기가 사용화되었을때는 그 당시 사람들의 놀라움을 자아냈습니다.

    1849년 영국의 전기학자 알렉산더 베인에 의해 처음 제작된 이것은 이미지의 어두운 부분을 읽어 모스부처럼 길고 짧은 신호를 수신기추에서 화학처리된 종이위에 기록하였습니다. 추후 1865년 조반니 카셀리가 이 원리를 바탕으로 최초의 팩스밀리인 '팬텔레그래프'를 제작했는데 이것은 실제로 프랑스에서 매년 수천건의 전송을 하면서 사용되어졌다고 합니다.

    다만 현재처럼 일반 종이를 수신하는것이 아니라 얇은 주석판에 비전도성 잉크로 메세지를 써서 주석판을 바늘로 읽어 다른 도시로 이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을 취했는데 그 좌우대칭이나 이미지가 표현되는 방식이 꽤나 정교했었다고 합니다.

    ​현재 사용되어지는 것과 같은 방식의 팩스밀리는 1906년 독일에서 아서코른이 금속 드럼과, 광전관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을 만들어내면서 지금의 방식의 기초가 되었는데 이때는 전기 신호를 인쇄하는 프린터나 복사기같은 기기가 발명되면서 이런 진화가 가능했던것이였다고 합니다.

    다만 1900년대 초까지도 이 기기를 사용하는 비용이 너무 비쌌을 뿐만 아니라 그 덩치도 워낙 컸기 때문에 각 기관마다 팩스를 보유하는것은 큼 부담일수 밖에 없었습니다. 기본적인 원리는 확립이 되었지만 그런 이유로 대중화를 이루는것은 거의 반세기동안 어려움을 격어왔습니다.

    그런데 1964년 제록스사에서 최초로 저가형 팩스를 개발했는데 작동법도 간단할뿐만 아니라 전화선만 연결하면 사용이 가능했기때문에 이때부터 대중화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물론 지금처럼 순식간에 전송되는 방식은 아니고 한장을 전송하는데 약 6분여가량의 시간이 걸렸지만 당시의 기술로는 꽤나 혁신적이였습니다.

    사실 팩스밀리는 내부에서 스캐너가 이미지를 1주사선 단위로 쪼개서 읽어들여 이를 비트맵형식의 이미지로 저장한다음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방식인데 제록스에서 개발한 이방식의 팩스는 많은 기술적 발전을 이룬 지금도 여전히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다만 요즘처럼 이메일이 보편화되고 인터넷이 발달되면서 팩스의 활용도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지만 아직까지도 인터넷 인프라가 취약한 나라에서는 전화선 즉 모뎀을 이용한 방식의 팩스가 유용하게 사용되어지고 있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