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23.04.23

집에서는 말안듣고 누나한테 양보도 하지 않는 아들이 나가서는 다른친구한테 다 양보하고 선생님말도 잘듣는데,,,왜 이러는 걸까요??

집에서는 말안듣고 누나한테 양보도 하지 않는 아들이 나가서는 다른친구한테 다 양보하고 선생님말도 잘듣는데,,,왜 이러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23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이중적인 모습에 당황되고 한편으로는 걱정이 되겠습니다.

    흔히 성인들도 밖에서는 가면을 쓰고 집에 들어오면 가면을 벗는다는 표현을 합니다.

    아무래도 집에 오면 편해지니 긴장된 마음을 풀어놓게 되는 것이지요.

    아이 또한 집에서는 바르지 못한 행동을 하지만, 친구들과 선생님 앞에서는 괜찮은 아이로 보이고 싶은 마음이 크기 때문입니다.

    이런 것이 아이들의 사회성 발달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누나에게 양보하지 않는 이유는 누나는 자신의 뜻을 다 받아주기 때문 이라고 생각하기 때문 입니다. 쉽게 말하면 집안에 사람들은 편하다 라는 느낌을 가지고 있어서 이기도 합니다.

    친구들에게 미운 대상이 되기 싫고, 선생님에게도 못난 아이로 보여지는 것은 싫은 것도 있지만 규칙이 있기 때문에 더욱 예쁜 행동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집은 규칙을 어겨도 누가 뭐라고 할 사람이 없기 때문에 편하다 라는 이유로 약간의 이기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들에게 집에서도 지켜야할 규칙이 있다 라는 것과 서열에 대해서 알려주시면서 상대를 배려하고 존중하는 인성교육을 토대로 양보하면서 잘 지내야 된다 라는 것을 알려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집에서는 편안한 공간이니 마음대로 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고 밖에서는 다른 나의 모습을 숨기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36개월이 넘어가면 아이들은 사회성과 인지 기능에 변화가 생깁니다.

    집에서는 부끄럽지 않은 행동이 타인에게 보여주는 것이 부끄러워지고 이전에는 자신의 욕구대로 표현을 다 하였다면

    4세 이후가 되면서부터 아이는 내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보여질지 알게되는 나이이기 때문에

    5세가 되면서 아이는 자신의 행동에 긍정적인 피드백과 이뻐보이기 위해 애쓸줄 알게 됩니다.​

    타인 앞에서 내가 잘 보이고 싶은 것은 사회성이 생기면서 당연히 보여지게 됩니다.

    자신을 표현하는것이 쑥쓰럽고 어렵지만 내가 이쁨받고싶고 내가 좋아하는 사람과

    잘 지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되는지 수많은 경험을 통해 타인에게 모습을 보여주게 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집은 자신에게 익숙하고 편안한 공간이지만 밖은 아이에게 늘 새로운 공간이기 때문에 압박감을 은연중에 받을 것입니다.

    그래서 밖에서 스트레스 받은 것을 집에 와서 푸는 경향이 있답니다.

    그래서 아이들의 행동이 집과 밖이 다르다는 것이랍니다.


  •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대체로 집안에서의 행동과 밖에서의 행동이 다른 아이들은 누구보다 엄격한 잣대를 스스로에게 적용하는 아이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과도하게 의식하거나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강한 아이들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잘못된 행동을 하거나 실수를 하는 것은 용납이 어렵기 때문에 집현관문을 나서는 순간부터 극도로 긴장하게 됩니다. 그렇게 하루종일 생활하고 집에 온다면 어떨까요. 외출해서 집에 오는 순간 풀어지기 마련입니다. 밖에서 쌓인 긴장과 불안으로 인해 지친 아이라면 집에서만큼은 조금 풀어져도 괜찮습니다. 그래야 다시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으며 그 에너지로 또다시 사회생활을 할수 있습니다. 밖에서는 모범생이지만 집에서만 말썽꾸러기인 우리 아이는 훈육보다는 공감과 위로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도 사회생활을 하기때문에 아이의 입장에서보면 밖에선 양보를 하고 편안한 집에서는 양보를 안하는게 당연한 모습입니다. 아이가 사회생활로 이해해 하시면 됩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집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인정을 받기 위하여

    아이가 양보도 하고 그러한 행동을 하는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의 아이들도 집과 밖에서의 행동은 많이 다르답니다.

    밖에서는 지켜야 할 규칙도 많고 예절바른 행동을 해야 하는 의무감이 있지만,

    집에 와서는 그런 행동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마음이 있기 때문에 그런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회적인 학습이나 약속, 규율은 잘 아는 듯 합니다

    집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긍정적으로 상호작용 해 주시고 격려 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원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집에서와 집밖에서 다른 아이들이 많습니다. 누나와의 경쟁심도 한몫했을 수 있습니다. 누나와의 관계 개선에 힘쓸때입니다


  •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다른 사람에게 잘 했을 때 칭찬을 받았던 경험 또는 자신의 이미지를 좋게 보이려는 의도, 다른 사람이 낯설기 때문에 자신의 좋은 점 만 보이려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