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날드 트럼프 대통령이 또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는데 앞으로 다른 물품들도 관세를 부과할것 같은지요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같은 경우에는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서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고
그리고 이번에는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관세를 부과한다고 하는데요 앞으로 전 품목에
대해 관세를 부과할지 궁금합니니다
전 품목에 일괄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전면적 보호무역’으로 나아갈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합니다. 미국도 글로벌 공급망에 깊이 얽혀 있어, 전면 관세는 소비자 물가 상승과 기업 경쟁력 저하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오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특정 전략산업이나 정치적으로 민감한 분야, 예를 들어 자동차, 배터리, 전기차, 반도체, 농산물 같은 품목은 언제든 새로운 관세 대상이 될 수 있는데 미정부에서 협상 지렛대로 관세 위협을 활용해 상대국으로부터 양보를 이끌어내는 방식을 즐겨 쓰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전품목에 대한 관세는 이미 상호관세라는 이름으로 부과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 EU, 일본등의 경우 명시된 관세율이 추가로 부과되고 그외 국가들은 10프로의 관세가 추가로 부과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부 철강 알루미늄 등의 품목은 추가로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철강 및 알루미늄 파생제품 목록 407개 제품 카테고리를 추가하였습니다. 이 결과에 따라 이들 제품의 철강, 알루미늄 함량에 50%의 관세율이 적용된다고 하였습니다.
오늘 조처로 인해 풍력터빈과 부품 및 구성품, 모바일 크레인, 불도저, 기타 중장비, 철도차량, 가구, 압축기 및 펌프, 수백가지 다른 제품에 적용됩니다.
우리나라는 냉장, 냉동ㄱ, 자동차 부품, 엘리베이터, 변압기, 트랙터 부품, 엔진, 전선, 케이블, 엘리베이터, 포크리프트 트럭, 권양. 적하기기 등의 건설기계가 다수 포함됐습니다.
추후에도 이러한 조치는 있을 수 있으며, 우리나라는 관세 부과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는 입장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미국은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과 그 파생상품에 대해서 추가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8월 18일부로 철강 및 알루미늄 파생상품 약 400개를 추가하여 부과하는 조치를 시행하였습니다. 아무래도 미국 업계에서 요청하는 경우 수입증가와 관계없이 추가될 확률이 굉장히 높은 상황이며, 수출기업은 철강 등의 함량확인과 원산지 입증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다만, 전 품목에 대해서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는 어렵다고 보여지며 최소화 하겠지만 늘어날수 있는 점을 염두해야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집권 시기에 철강과 알루미늄 같은 핵심 소재에 관세를 매긴 건 보호무역 정책의 전형적인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자동차 관세 검토도 같은 맥락이었습니다. 이번에도 다시 관세 부과를 언급하는 건 자국 제조업 기반을 강화하고 중국이나 유럽 같은 주요 교역 상대국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큽니다. 향후 다른 품목에도 확대될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같은 전략 산업은 언제든 협상 카드로 쓰일 수 있습니다. 다만 전 품목에 일괄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건 현실성이 낮습니다. 자국 내 소비자 물가와 글로벌 공급망 충격을 동시에 초래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