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대부분의 사람들은 위험회피적일까요?
같은 기대수익률의 자산들이 있다면 변동성이 낮은, 위험이 낮은 자산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데요. 위험을 회피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람들은 이익을 얻는 것보다 손실을 보는 것에 훨씬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같은 금액이라도 이익에서 얻는 만족감보다 손실에서 느끼는 고통이 더 크기 때문에, 손실을 최소화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인간에게 불안감을 유발합니다. 위험을 회피함으로써 이러한 불안감을 줄이고 심리적 안정을 유지하려는 본능이 작용합니다. 위험을 감수한다는 것은 통제력을 잃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삶과 재정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하려는 욕구가 강하기 때문에, 통제력을 잃을 수 있는 위험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인간의 뇌는 위험을 감수했을 때 얻는 보상보다 위험을 회피했을 때 얻는 안정감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왜 대부분의 사람들은 위험회피적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자신의 돈, 자신의 자산을 걸고 투자를하기 때문에
도전적이기 보다는 안전 지향적일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사람들은 손실에 대한 심리적 고통이 이익에 대한 기쁨보다 훨씬 크게 느껴지는 ‘손실 회피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같은 기대수익이라도 변동성이 크면 손실 가능성이 커 보이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회피하려는 경향이 생깁니다.
이는 진화심리학적으로도 생존에 유리했던 위험회피 본능이 금융 판단에까지 작용한 결과입니다.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같은 기대수익율이라면 당연히 위험성이 낮은 선택을 해야 합니다. 기대수익율은 같지면 위험성이 높다면 원금을 손실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같은 수익률인데 더 큰 위험을 무릎 쓸 필요는 없습니다.
위험이 높다는 얘기는 기대 수익률이 높다는 얘기입니다.
1억 넣고 똑같이 1000만원 기대 수익을 가지는데 위험한 투자보다는 덜 위험한 투자를 하는건 당연한 일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위험을 회피한다는 것은 본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누가 위험한 것을 좋아하냐고 물었을때, 자신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좋아한다고 대답할 수 없겠죠. 생존을 위한 본능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위험을 회피하는 이유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특히 경기에 따라 비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경기가 좋고 경제성장률이 괜찮다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여윳돈이 있고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투자를 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실패하면 타격이 커지기 때문에 회피적이 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이것을 줄이기 위해서는 대부분 사람들의 투자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할 것으로 보이는데
단순 추천종목에 따라 한탕주의가 아닌 투자에 대해 공부하고 꾸준히 투자하면서 확률적으로 수익을 버는 행위라는 것을 알고 접근하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자산의 하락 등이 지나치다면
이에 따라서 심리적으로 흔들리는 등
이에 따라서 위험회피성향을 보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