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라울곤잘
라울곤잘23.01.20

미국이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을 투하한 이유는?

미국이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을 투하하면서 일본이 무조건적인 항복을 하였다고 알고 있는데요.

미국이 원자폭탄을 어떠한 이유에서 폭탄을 투하 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평양 전쟁과 중일전쟁에서 패색이 짙던 일본제국 수뇌부는 소련을 중재자로 하는 화평공작을 펼칩니다.

    식민지로 삼고 있던 한반도, 중국 동부, 만주, 사할린 등을 포기하고 당장 항복하자는 고노에후미마로와 같은 강경파는 1994년부터 항복을 준비했으나 소련은 처음부터 홋카이도까지 정복할 생각을 했기때문에, 이런 조건으로 항복을 중개할 이유가 없었으며 미국을 위시한 연합군 또한 정치적 상징성으로든 군사적 실리성으로든 일본 본토를 점령할 필요가 있어 제국의 화평공작은 진전이 없었습니다.

    1945년 포츠담선언이 발표되지만 일본은 국체보존과 청황제 유지가 불투명하다는 무조건 항복을 받아들이지 않아 소련의 중재를 통해 조약을 체결한다는 기대를 버리지 않고 포츠담 선언을 묵살한다는 발표를 해버리자, 빨리 전쟁을 끈내고 싶어한 미국은 전쟁 지속 외에 다른 방법이 없었습니다.

    당시 일본제국은 1억 총옥쇄를 외치며 저항하고, 이 저항으로 이오지마 전투와 오키나와 전투가 일어납니다.

    이 전투에서 피해를 본 미국은 일본을 압박할 새로운 수단으로 핵무기를 고려합니다.

    당시 미국은 20억달러나 되는 거금을 들인 맨해튼 프로젝트가 아무런 성과도 보여주지 못하면 군사 비밀로 그 사용처가 알려지지 않았던 20억을 둘러싼 정치적 후폭풍을 예상합니다. 국민의 혈세를 헛되이 쓰지 않았다는 것을 입증할 필요가 있었고, 선거는 다가오고 앞선 상륙작전에서 유권자들의 아들들은 죽으며, 그 와중에 전쟁을 한번에 끝낼수있는 무기를 20억달러나 들여 완성하지만 비인도적이라 쓰지 않았다는 건 당시 유권자들에게 납득이 되지 않는 일이었습니다.

    미군은 이미 3년전 둘리틀 특공대로 하여금 일본 본토를 타격한 경험이 있는데 이 결과를 미군은 잊지 않고 자신의 노하우로 삼아 일본 열도를 타격할 방법을 터득하고 이 둘리틀 작전으로 얻은 경험을 미군은 이 작전도 수행하게 됩니다

    둘리틀 특공대의 폭격 당시 타겟은 도쿄, 나고야 등이었는데 당시 일본제국에게 우리는 너네 안방을 부술수 있다는 것만 보여줬습니다.

    일본제국은 계속 미국에 저항하고, 이는 일본 제국의 동맹국인 나치 독일이 항복한 이후에도 무의미한 발악을 계속하자 인내심이 한계에 달한 미군은 결국 일본 제국 본토에 유사이래 최대의 파괴력을 지닌 무기로 사용할수 밖에 없었으며, 타겟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로 결정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독일 항복 이후 유럽의 전후 질서 구축 문제를 논의한 회담인 포츠담 선언으로 으로 문서화되었는데요. 이와 별도로 회담 기간 중 미국주도로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의 항복 권고와 2차 대전 이후의 일본에대한 처리 문제가 논의되었고, 합의 내용은 "포츠담 선언"으로 공포 됬습니다. 미국,영국, 중화민국이 선언에 서명하였다고 합니다 선언의 요지는 "일본이 항복하지 않는다면 즉각적이고 완전한 파멸"에 직면하게 될 것을 경고했고, 일본이 이를 지키지 않자 미국이 히로시마에 원폭을 투가한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