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12

무역수지와 경상수지의 차이와 이것들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되나요?

무역수지와 경상수지의 차이와 이것들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되나요?

전문가님들의 소중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경훈 관세사blue-check
    전경훈 관세사23.08.13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경상수지에는 서비스·여행·배당 등 여러 종류의 수지가 포함되지만, 무역수지와 성격이 비슷한 상품수지가 경상수지 구성 비율 중 70~80%가량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무역수지가 큰 폭의 적자를 기록하면 경상수지 흑자 역시 위협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무역수지는 국경에서 통관하는 물품의 수출과 수입액의 차이를 집계하는 지표입니다. 무역수지의 적자는 실업률 증가로 이어진다. 또한 화폐가치도 떨어지게 되며, 수출 가격은 하락되나 수입가격은 상승합니다. 무역수지 흑자는 수출가격 상승, 수입가격 하락으로 외환보유액이 증가합니다.

    경상수지는 국제간의 거래에서 자본거래를 제외한 경상적 거래에 관한 수지를 말합니다. 경상수지 적자는 외화부족, 금리인상, 인플레이션증가, 경기침체로 이어집니다. 경숭수지 흑자인 경우에는 외화 보유액 증가, 외국 투자 증가, 환율이 안정적이며, 경제성장으로 국내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무역수지는 국경에서 통관하는 물품의 수출과 수입액의 차이를 집계하는 지표다. 경상수지는 보다 넓은 범위로서 무역은 물론이고 서비스·투자·배당 등 다양한 대외 거래를 두루 반영한 지표를 말합니다.

    경상수지에는 상품수지가 포함되는데, 이는 무역수지와 비슷하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금액의 계상 기준, 그리고 수지의 반영시점이 다릅니다.

    한국은행에서 안내하는 차이점에 관한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수출입 가격 평가기준의 차이가 있어요. 수출입은 보험료와 운송비 등 제비용을 수출업자와 수입업자 중 누가 부담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인도조건으로 나누어지죠.

    수출입 인도조건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본선인도조건(FOB: Free On Board)과 운임·보험료포함조건(CIF: Cost, Insurance and Freight)이 있어요. 수출업자가 수출품을 수입업자가 지정한 선박까지 운반하고 그 이후 수입업자에게 인도될 때까지의 운임과 보험료는 수입업자가 부담하는 것을 FOB 조건이라고 하죠. 운임과 보험료까지 수출업자가 부담하는 것을 CIF 조건이라고 하는데요, 동일한 상품이라면 FOB조건보다는 CIF조건의 상품가격이 더 높아요.

    통관기준 수출은 FOB, 수입은 CIF 가격으로 평가하는 반면 상품수지는 수출입 모두 FOB 가격 기준이에요. 두 통계의 수입금액은 당연히 차이가 나겠죠? 보통 통관기준 수입이 상품수지의 수입보다 크게 나타나요.

    둘째로 수출입 계상시점의 차이가 있어요. 무역수지는 상품의 수출입 신고수리일을 기준으로 수출입을 집계합니다. 상품수지는 상품의 소유권 이전(change of economic ownership)을 기준으로 수출입을 계상해요.

    우리나라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경상수지를 통해 우리나라의 소득, 고용과의 상관관계 파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무역수지는 한 국가의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경상수지는 한 국가의 모든 국제수지, 즉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자본수지, 경상이전수지의 합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무역수지는 상품수지와 서비스수지로 구성되며, 상품수지는 한 국가가 수출한 상품의 금액에서 수입한 상품의 금액을 뺀 값입니다. 서비스수지는 한 국가가 수출한 서비스의 금액에서 수입한 서비스의 금액을 뺀 값입니다.

    반면, 경상수지는 무역수지,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자본수지, 경상이전수지의 합입니다. 소득수지는 한 국가가 해외에 투자한 자본에서 얻은 이자와 배당의 금액입니다. 자본수지는 한 국가가 해외에 투자한 자본의 금액에서 해외에서 투자받은 자본의 금액을 뺀 값이며, 경상이전수지는 정부와 개인이 해외에 송금한 금액입니다.

    무역수지가 흑자라면 해당 국가는 수출을 통해 외화를 벌어들였다고 볼 수 있으며, 경상수지가 흑자라면 해당 국가는 수출, 서비스, 소득, 자본, 경상이전 등 모든 국제수지에서 외화를 벌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경상수지는 국가가 재화와 서비스를 외국과 거래한 결과로 나타나는 수입과 지출의 차액이며, 자본의 유입 및 유출을 나타내는 자본수지와 함께 국제수지를 구성하며,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로 세분됩니다.

    이때 상품수지가 무역수지와 거의 유사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무역수지가 가장 중요한 수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통상적으로는 무역수지와 경상수지는 비례하는 관계이며, 이들의 차이가 크게 발생한다면 무역이 아닌 다른 부분에서 우리나라가 잘못하고 있거나 혹은 무역외의 다른 분야에서 큰 금액을 수익을 얻고있다고 해석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