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5.25

한국이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이유가 뭔가요?

우리나라랑 미국이랑 금리차이가 심하면 외국으로 자본이 빠져나가서 여러가지 부작용이 크다고 하던데 계속해서 미국금리와 격차를 벌리는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미국도 앞으로 금리를 인상하기 보다는 동결이나 인하기조로 잡았기 때문에 경제가

      어려운 국내에서 굳이 금리를 더 올릴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 다만 금리 인하기에는 미국보다 우리나라가 금리를 더욱 천천히 내리며 미국 기준금리와

      키 맞추기를 진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경제 사정이 미국보다 안좋기 때문에 금리를 못올립니다. 여기서 더 올리면 부동산 영끌족들이나 자영업자들이 파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경기가 안좋기 때문에 금리 인상에 부담스럽기 때문입니다 연초대비 물가는 잡히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구여 이번에 올해 성장율 전망 0.2% 더 낮춘 1.4% 올해 성장을 예상했구요 경기침체로 갈 수있는 상황에 금리인상을 하긴 무리수는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이유는 국내의 부채리스크로 인해서 추가적인 금리인상에 대한 부담감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하게 되더라도 달러환율의 극적인 상승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는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기조가 완화 혹은 동결에 가까워졌기 때문입니다. 다들 오해를 하시는 것이 달러환율은 현재의 한미금리 격차가 아니라 앞으로 발생가능한 한미간의 기준금리 최대격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기조가 다시 빨라지지 않는 이상은 달러환율의 상승이 발생하기 힘들기 때문에 외화 유출의 위험성은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선 물가상승률이 3%대까지 낮아지면서 안정화 되었고, 무역적자가 지속되고 있어, 경기침체에 좀 더 중점을 두는정책적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은입장에서도 미국따라 금리를 올리고 싶지만 우리나라 경제의 뇌관인 가계부채가 워낙 많습니다. 그래서 미국처럼 금리를 올리다가 경제침체가 심해질 것 같아서 못올리고 있습니딘.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상당한 수준이며

    또한 기업들과 부동산 시장 또한 상당히 좋지 않기에

    그런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돈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물가는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3%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하반기 경기위축이 예상되는 관계로 금리 인상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무엇보다도 금리가 높으면 가계 대출이 많은 우리나라는
    가계 위험이 더 커질 수 밖에 없는 관계로 금리를 동결한 것으로 보이네요.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동결하는 이유는 물가 상승률이 어느 정도 잡혔다고 보고 있으며

    만약 여기서 더 올리게 되면 경제성장률을 낮게 잡았음에도 불구하고 더 내려갈 수 있기에

    격차를 벌리는 것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본유출 등과 같은 부분도 우려했던 만큼 크지 않아 견딜만한다고 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