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떼쓰는 행동' 속에 숨겨진 메시지는 진짜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님 아이의 떼스는 행동들이 정말 옳지 않아
매번 공감을 해주는게 맞는것인지 아닐때는 매번 혼을 내켜야 하는지도 궁금하며
아이의 고집이나 떼쓰는 행동을 단순히 말썽으로 보기보다,
딸아이가 떼를 쓸때마다 그 떼쓰는 해동 속에 담긴 아이의 욕구나 감정을
읽어내려는 노력을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떼스는 행동들을 고치는 방법도 있다면 알려주세요
아이들의 떼 쓰는 행동에 숨겨진 메시지가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떼를 쓸 때는 막무가내이기 때문에 당황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떼를 쓰는 주요 원인은
의사소통의 한계, 좌절감, 감정 조절 미숙, 피곤함/배고픔, 관심 끌기, 모방 등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떼 쓰는 행동 속에 숨겨진 메세지는
" 나 기분이 안 좋아요", "나 지금 화가 났어요", "엄마.아빠 때문에 속이 상해요", " 나 지금 너무 아파요" 등의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전달하는 부분이 미숙해서 행동 이라는 태도로 감정을 전달하는 부분이 큽니다.
그러나 화가 나고 짜증이 난다고 하여 자신의 감정을 떼로 전달하는 행동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 행동은
옳지 않다 라는 것을 아이에게 알려 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아이가 떼를 부린다면 그 즉시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함으로 떼를 부리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전달한 후
왜 떼를 부리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떼쓰기는 단순한 말썽이 아니라 자신의 감정이나 욕구를 표현하는 방법일 때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피곤하거나 주목받고 싶거나, 좌절감을 느낄 때 나타납니다. 공감은 필요하지만 매번 다 받아주면 습관이 될수 있어 '네 마음 알겠어'처럼 감정을 인정하면서도 행동의 한계를 명확히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