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홀짝홀짝마셔봐
홀짝홀짝마셔봐

최근 벌들이 주변에 갑자기 많이 보이는 것 같은데..

최근에 주변에서 벌들이 많이 보이는 것 같은데..

혹시 저만 그렇게 느끼는 걸까요?

어딜가도 벌 1~2마리는 주변에서 날아다니더라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개화기 꽃, 기온상승, 서식지 변화 등에 영향일수 있답니다.

    특히 초여름 ~ 여름엔 꿀벌, 말벌 활동이 활발해져 더 자주 보이는것으로 보여지네요

  • 안타깝지만 말씀하신 것과 다르게 벌의 수는 크게 감소했습니다.

    다만 최근 날씨로 인해 벌들의 활동량이 늘어나며 그동안 거의 볼 수 없었던 벌들이 보이며 그렇게 느끼신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즉, 벌이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활동하기 때문이며 또 벌의 활동반경이 매우 넓은 것도 또 다른 이유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체 개체 수는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네, 최근 들어서 벌이 많이 보이는 현상은 계절과 연관되어있을 수 있는 현상인데요, 여름~초가을은 벌들이 가장 활발한 시기로, 봄에 여왕벌이 산란하고 나면 여름까지 일벌이 늘어나면서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합니다. 또한 벌은 꽃가루와 꿀을 먹기 때문에, 주변에 개화하는 식물이 많을수록 벌이 몰리는데요, 특히 도시에서도 가로수, 공원, 정원 식물 덕분에 벌이 흔히 보일 수 있습니다. 게다가 벌들이 단순히 꽃만 찾는 게 아니라, 물(수돗가, 웅덩이)이나 음식물(달콤한 음료, 과일향)에도 끌리기 때문에 그래서 사람 주변에서 더 쉽게 발견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가을로 진행하면서 “체감상” 많아졌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은데요, 왜냐하면 계절 특성상 원래 개체 수가 많아지고, 여름에는 벌 활동 범위가 넓어져서 눈에 띄기 쉽기 때문이지만 반대로 전 세계적으로는 벌 개체 수 감소(특히 꿀벌) 문제가 계속되고 있어서, 장기적으로는 줄고 있는 추세입니다. 감사합니다.

  • 최근 벌의 개체 수가 줄고 있다는 언론 보도와 달리, 벌집 제거 출동 건수는 증가했습니다. 이는 벌의 활동성이 증가했거나 인간의 생활 환경에 더 가까워졌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또한, 기후 변화로 인해 벌의 활동 시기가 길어지고, 서식지가 줄어들면서 벌이 먹이를 찾아 도심으로 나오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벌이 많이 보인다고 느끼게 하는 요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벌은 계절적으로 개화기에 먹이를 찾기위해서 활동량이 급격히 늘어나기때문에 최근 갑자기 많아진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또 기온ㅅ강수량과 같은 환경요인에따라 특정시기에 벌 개체군이 집중적으로 출현하기도 합니다.

    개인의 착각보다는 계절적인, 환경적인 요인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