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8

전세와 월세의 차이가 뭔지 쉽게 설명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월세와 전세의 차이가 뭔가요? 월세는 보증금을 내고 매달 특정 금액을 지불하고 계약기간이 끝나면 보증금을 받는 방식으로 알고있는데 전세는 이것과 어떻게 다른가요? 그리고 전세라는 개념은 외국에서도 시행되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인혜 공인중개사blue-check
    김인혜 공인중개사23.05.28

    안녕하세요. 김인혜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는 일정금액의 보증금을 내고 2년동안 주거가 가능한 계획입니다. 세계적으로는 흔히 있지않는. 주거형태인데 인도. 에서도 전세 제도가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둘다 임대차입니다.

    월세는 보증금을 적게 내고 월세를 매달 내는 임대차입니다.

    전세는 보증금을 많이 내고 월세는 0원인 임대차입니다.

    전세라는 제도 일부 외국에도 있지만 우리나라처럼 임대차의 한 형태로 대중화 되어 있는 나라는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는 보증금만 내면 끝입니다

    옛날에는 저축이자가 많이 높아서 전세금을 은행에 넣어두고

    이자를 받는방식이었는데 요즘은 이자도 많이 적어서 월세를 더 선호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 임대차는 보증금 일부분을 임대인에게 지불하고 매월 일정금액의 월세를 지불하는 임대차 계약입니다. 보증금은 임대만료시 임차인이 반환받는 금액이고요.

    전세임대차는 매월 지급하는 월세 없이 보증금 전액을 지불하고 계약을 체결합니다. 계약만료로 퇴거시

    전액 임차인이 반환 받을 수 있는 금액입니다.

    전세제도는 알려진 바에 의하면 우리나라만 있는 계약형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1. 전세 : 보증금을 임대인에게 지급한 후 임대차계약기간이 종료가 되는 경우 임대인이 보증금을 다시 되돌려 받는 경우에 해당되고

    2. 월세 : 일정한 보증금(전세 보증금 규모보다 적음)을 임대인에게 예치를 한 후 매월 일정한 금액을 지붖인에게 주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경우 임차인이 보증금이 없거나 임대인이 월세 수익을 요구하는 경우 상호 협의에 따라 임대차 유형이 결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는 저희나라만 있는 제도입니다.

    월세는 보증금에 매월 월세를 지급하다가 계약종료후 보증금을 받고 나가는것이고 전세는 보증금만 있을뿐 월세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와 월세의 가장 큰 차이는 월 차임 부담여부입니다. 월세는 보증금 외 월 임대료를 지급하는 방식이고 전세는 큰 규모의 보증금을 내는 대신 월 임대료를 지급하지 않는 임대차 방식입니다. 보통 전세 종료가 되면 보증금을 돌려받는 것은 월세와 동일 합니다.

    전세제도는 볼리비아나 인도에도 존재하나 우리나라처럼 그 비중이 크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와 전세 모두 주택임대차보호법 상 똑같이 보호를 받을 수 있고 계약이 종료되면 법적으로 임대인은 보증금을 반환해야 합니다 . 단지 전세는 매월 지불하는 월세가 없고 전세권설정등기를 할 수도 있습니다.

    인도, 스페인, 프랑스 등 몇몇 국가에서 전세라는 제도가 있지만 큰돈을 모르는 사람에게 보증금으로 맡겨 놓는다는 것을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처럼 일반적으로 전세계약이 두루 이러우지고 있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