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법인세 이미지
법인세세금·세무
법인세 이미지
법인세세금·세무
깔끔한비쿠냐171
깔끔한비쿠냐17123.08.23

법인 자금을 대표자 개인 통장에 넣는 경우 문제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법인 경영지원 업무 담당을 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자금 운영을 위하여, 대표님 지시 사항으로 파킹통장(예시: 카카오뱅크의 세이프박스, 케이뱅크의 플러스박스 등)을 개설하고자 하였으나 법인 명의 개설을 할 수 있는 상품이 없어서 대표님 개인 명의로 개설 후 자금 이체를 진행하였습니다.

파킹통장의 경우 정기적금, 정기예금 상품과는 다른 결이다보니 아래와 같이 분개를 하였는데요,

차) 보통예금 (거래처: 대표자의 파킹통장 계좌) / 대) 보통예금 (거래처: 법인 계좌) _ 적요: 예금대체

혹시 이렇게 처리할 경우에 생기는 문제가 있을까요?

세무사 사무실 담당자분께서는 단기대여금이나 임직원 단기채권 계정으로 처리할 것으로 권하였는데, 이 방법으로 처리해도 괜찮을까요? 어떻게 처리해야 문제 없이 처리할 수 있을까요? 어떤 방법으로 처리해야 정석적으로 처리할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한진화 회계사입니다.

    법인과 대표자 개인은 다른 인격체로 다른 사람이라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법인에서 다른 사람통장으로 자금이체를 하신 것이므로

    회계적으로 정석적으로 하실려면

    단기대여금(가지급금)/보통예금으로 처리 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윤경 세무사입니다.

    법인명의의 통장이 아니면 103(보통예금)을 사용 못합니다.

    따라서 가지급금으로 처리해야 하며, 이후 가지급금에 대한 세법 적용을 하여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눌러 주심에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호 세무사입니다.

    그 대표자 개인의 통장은 회사의 통장이 아니기 때문에 보통예금의 계정과목을 쓰긴 어려울 것으로 보이고, 대여금 or 가지급금으로 처리를 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럴 경우 대표자가 그 금액을 가져갔다고 처리 되기 때문에 대표자에게 이자 성격의 불이익이 있을 수 있어서 가급적 그렇게 하지 않길 권해드립니다. 이점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원칙적으로 대여금등으로 처리를 하시고, 대표가 상환할때까지의 기간동안 세법상 적정이자율인 연 4.6%의 로 이자를 일할계산해서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