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회복세라는데 2분기 다시 성장했나요?
25년 2분기 한국 수출회복과 내수 회복 기대속에 0.5%성장, 전녀대비 0.4% 성장했따고 하는데요 하반기 경제 성장 반등의 신호일까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까지 이러한 지표가 긍정적으로 나왔으나
하반기 경제성장이 반등 하였다고 보기는 힘들고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반도체가 크게 도움을 주었고 우리나라가 정치적으로 안정이 되며 다시 상승하였스빈다
그러나 미국에서도 다시 관세를 부여하게 되면서 3분기에는 성장이 꺾일 수 있습니다.
경제 반등 신호로 보려면 3분기까지는 지켜봐야 알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2분기 성장률이 플러스라 반가운 건 맞습니다. 수출이 반도체와 자동차 중심으로 회복세를 타고 내수도 소비가 조금씩 살아난 덕이 큽니다. 하지만 0.5퍼센트라는 숫자가 큰 반등을 의미한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글로벌 수요가 여전히 불안하고 금리 인하가 본격화되기 전까지는 내수 회복 속도도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하반기에는 경기 부양 정책과 해외 경기 흐름이 맞물려야 성장 모멘텀이 붙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번 수치는 바닥을 지나가는 신호일 수 있지만 추세로 이어질지는 아직 지켜봐야 할 단계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수출회복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수출입은행에서 전망하기로는 2분기 수출이
전년대비해서 6-7퍼센트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기에
다시 성장하지는 못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25년 2분기 한국 경제 수출 회복과 내수 개선에 힘입어 전기 대비 0.5%, 전년 대비 0.4% 성장했습니다.
반도체, 자동차 등 주력 품목 수출이 늘었고, 소비와 투자도 소폭 회복한 영향입니다.
다만,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치 커서 하반기 성장세가 안정적으로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1분기에는 마이너스 역성장이었으며 2분기성장은 말씀하신것처럼 소폭 경제성장을 하였습니다 자세히 따져보면 국내의 투자는 여전히 역성장을 하면서 오히려 마이너스 성장폭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즉 작년부터 지금까지 마이너스 성장이 더 확대가 되고 있으며 이는 국내기업과 외국기업의 직접투자가 감소하고 있다는점입니다 그러면서 내수소비는 정부의 적극적인 내수소비 확대로 소폭 성장을 보였으며 재정지출도 소폭 상회하는 측 추경을 통해서 재정지출로 어느정도 부양된 효과입니다
즉 순전히 이번에 HBM반도체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수출의 대다수를 기여하고 있고 자동차수출도 매우 견조하면서 이번에 수출성장기여가 5.6%를 차지하며 실질적으로 수출로 발생된 결과입니다
그런데 하반기에는 다소 불투명한 이유는 상호관세 15%가 이번에 부과되었다는 점입니다 그러면서 실질적으로 국내의 자동차 수출이 감소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고 이런 흐름이 하반기에 더 가속화 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면서 수출물동량이 감소하고 거기다가 HBM의 투자성장률이 하반기에도 고성장을 지속하기엔느 다소 무리가 있다는 점입니다 즉 이런 관세불확실성과 대외 여건이 썩 좋은 건 아니기 때문에 수출기여도가 하반기에도 강하게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며 이로 인해서하반기 수출도 밝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수출의 회복세의 경우 관세의 이슈로 인해 많은 문제가 잇었지만, 이러한 관세의 기준이 15%로 확정이 되므로 인해, 이전에 처음에 제시한 수준에서 일정수준 방어를 했다고 한다면 올 초에 계획한 경제 성장세에 비해서는 감소할 수 잇지만, 결국 6월에 중간점검시에 나온 관세 문제로부터는 일정부분 방어한 점에서 경제성장이 조금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은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들의 또는 실무진들의 부담이 줄어들었을 가능성이 있어 긍정적인 요소는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