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신랄한갈매기새우깡이먹고싶습니다
신랄한갈매기새우깡이먹고싶습니다23.08.07

월세도 계약기간을 짧게 조절할 수 있나요?

전세는 보통 2년이고 월세도 보통 1년 단위로 계약하는데 이건 법적으로 정해져있는건가요?

서로 합의가 되면 더 짧게 계약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 월세 모두 임대차입니다.

    전세, 월세 모두 기간이 법문화 되어 있는것은 2년입니다.

    월세의 경우 1년 계약은 별도로 임대인과 임차인의 협의하에 그렇게 하는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오피스텔이나 대학가 원룸등이 그렇게 하고 아파트등은 월세도 대부분 2년입니다.

    또한 기간도 서로 협의만되면 더 짧게도 가능하지만 대부분 임대인들은 2년을 원하기에 쉽지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인과 임차인이 협의하여 계약기간을 정하면 됩니다. 단기로 3개월 또는 6개월, 1년, 2년으로 계약기간을 정하면 됩니다. 보통 단기 3기 3개월, 6개월은 임대인이 원할 때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

    상호 합의가 되면 단기임대라고 하죠. 짧게 계약도 가능합니다.

    주택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계약서에 계약 기간을 정하지 않았거나 기간을 2년 미만으로 정했더라도 임차인은 최소한 2년의 기간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임차인은 2년 미만으로 정한 기간이 유효함을 주장할 수 있으므로 만약 계약기간을 1년으로 정했다면, 임차인은 2년 동안 임대차 기간을 보장받으면서도 필요한 경우에는 1년 후에 계약을 해지하고 임대인에게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1년의 계약을 하더라도 임대인은 이를 계약의 내용으로 주장할 순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임대차, 월세임대차 주택임대차보호를 받으려면 2년계약을 해야 합니다.

    월세 임대차도 2년계약하는데 임대인과 임차인이 협의하여 기간을 2년이하, 2년이상도 계약을 합니다.

    합의만 된다면 더 짧게도 계약이 가능합니다. 임대인이 기간을 짧게 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가 다수 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인 입장에서는 너무짧아도 번거롭게 생각시고 최소 1년이지만 보통은 2년은 원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부동산 수수료비용도 그렇고 너무자주 바뀌면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때문입니다

    서로 협의가 된다면 더짧게도 할수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법으로 정해진것은 없고 임대인과 협의하여 정하면 되는것 입니다. 한달이하도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임차인은 2년미만으로 계약시 2년 미만의 기간을 주장할 수 있고 계약기간을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임대인은 만약 2년 미만으로 계약을 해도 임차인이 2년을 주장하면 받아들여야 합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좋아요!!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