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23.02.13

이완용은 왜 친일파가 되었나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매국노란 칭호를 갖는 이완용이 처음에는 친일파가 아니었고 오히려 애국지였다고 들었는데 왜 역사에 남을 매국노로 변절한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완용은 미국에서 1888년말부터 1890년 10월까지 주미대리공사로 활동하는데 이때 주미공사관 서기관으로 일했던 알렌과 친해지며 이완용의 조력자가 됩니다.

    19세기 말 조선과 미국을 본 이완용은 충격을 받고, 미국을 무조건 배워야 한다, 지금의 조선은 후천적이라는 것을 깨닫습니다.

    차관 도입의 실패와 조선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확산으로 주미공사관의 활동도 크게 위축되었고 일본의 대표적인 낭인 단체인 흑룡회 간사를 지냈던 쿠즈 요시히사는 이완용의 주미대리공사 시절을 기록하는데 내용은

    어느 미국인이 이완용에게 한국인은 돼지만도 못한 열등 민족이라는 말을 했을 때 이완용은 자극받아 세계 일등 민족이라는 미국을 연구, 시찰하였다. 미국 원주민인 인디언의 특수 부락도 가고, 인도, 멕시코, 폴란드 , 유대인까지 연구했다. 결과 한국 민족은 세계에서 가장 열등한 민족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 기록은 한국 침략의 첨병 역할을 했던 일본 낭인이 한국의 대표적인 양반 관료였던 이완용의 말을 빌려 한국민족이 세계에서 가장 열등하다는 것을 한국인 스스로 인정했고, 문명국 일본에게 나라를 넘길 결심을 했다는 식으로 적어 놓은 글 입니다.

    그러나 이 기록에서 이완용이 받았을 문화적 충격과 자신에 대한 회의를 짐작할수있습니다.

    또, 을사늑약은 강압적인 분위기에서 이어졌는데 고종은 이토 히로부미와 만나지 않고 대신들이 이토와 마주합니다.

    이때 이완용은 일본이 내세운 조건에 끌려다녔고 후 일본이 고종을 왕의 자리에서 끌어내리기로 결정했을 때 능동적으로 행하며 이때부터 매국노가 되어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