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젤계수라는 용어는 무슨의미인것인가요?
최근에 뉴스를 보다보니까 엔젤계수라는 용어가 나오던데요, 엥겔지수랑 이름이 비슷한것 같기도 하구요, 그런데 엔젤계수라는 용어는 무슨의미인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엔젤계수란 가계의 총 지출에서 자녀에 대한 수업료, 보육비, 학원비 등의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엔젤계수는 한국 사회에서 자주 언급되는 개념으로, 가계 지출 중 자녀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엔젤계수가 높을수록 아이 키우기 부담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계의 총 지출 중에서 자녀 양육 및 교육에 들어가는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경제 지표를 엔젤계수라고 합니다. 즉 우리 집에서 쓰는 돈 중 아이 때문에 쓰는 돈의 비율을 말합니다.
엔젤계수=가계 총 지출액 / 자녀 관련 총 지출액×100 이라는 형태의 공식을 갖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월 총소비지출이 300만 원이고 그 중 아이 관련 지출이 90만 원이라면, 엔젤계수는 90만 ÷ 300만 = 0.30(30%)가 됩니다. 이는 가계 지출의 30%를 자녀 양육에 쓰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추가적으로 엔젤계수는 엥겔계수와 이름이 매우 유사하며, 개념적으로도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엥겔계수는 가계 총 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엥겔계수가 높게 나타납니다. 반면 엔젤계수는 가계 총 지출에서 자녀 양육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보여주며, 자녀를 키우는 경제적 부담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엔겔계수에 대한 내용입니다.
엔겔계수란 가계의 총 소비 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엔젤계수는 아이 키우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아이한테 쓰는 돈이 집 살림에서 얼마나 크냐를 보여주는 지표라고 합니다. 엥겔지수가 식비 부담을 보는 거라면 엔젤계수는 육아 부담을 보는 거죠. 제 생각에는 요즘 교육비나 돌봄 비용이 계속 오르니까 체감상 훨씬 높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통계에서는 가구 소득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주로 본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