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치하다가 혀 닦으면 구역질 나는데 왜 그런지 알려주세요
양치하다가 혀 닦으면 구역질 나는데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매일 양치하면서 한 번도 빠짐없이 항상 그러니깐 혀 닦기가 싫어지는데
그래도 닦아야하는데, 알려주세요
혀 뒤 부분은 인두라는 부위가 있습니다. 인두는 설신경 등이 주로 분포하고 있는데 인두를 자극하면 설신경이 반응하여 구토 반사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즉 이러한 기전으로 혀를 심하게 닦으면 구토 증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혀는 음식물이 어느정도 고일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해당 부위를 깨끗히 하는 것이 구강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양치를 하다 혀를 닦을 때 혀의 깊숙한 곳을 자극하게 되면 구역 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구역질이 날 수 있습니다.
양치를 할 때 혀를 닦아주는 것은 좋은 습관이지만 굳이 깊은 곳까지 무리하게 닦을 필요는 없습니다.
구역질이 날 정도로 깊이 넣어서 닦지 않으셔도 됩니다. 간혹 구역반사가 다른 사람보다 심하신 분이 계신데, 최대한 목구멍을 닫고 코로 숨을 쉬시면서 혀를 내밀어 닦으시면 좀 수월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도 구역질이 난다면 그냥 구역질이 나지 않는 부분까지만 닦아주시면 됩니다.
혀를 닦을 때 나오는 구역질은 구토반사 때문입니다. 혀 클리너를 이용해서 부드럽게 닦거나, 혀를 닦을 때 칫솔에 치약이 없도록 여러번 헹구고 그리고 코를 막고 다른 생각을 하면서 닦아주면 조금 증상이 개선됩니다. 후각에 의해 구토반사가 강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