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강력한여새275
강력한여새275

미국의 2024년 3분기 실업율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2024년 9월 19일 금리인하가 화두인데요. 미국의 2024년 3분기 실업율이 많이 증가했나요? 경기침체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월별로 실업률을 발표합니다.

    24년 7월 실업률이 4.3%이었고 8월 실업률이 4.2%였습니다.

    연준은 경제전망을 통해 연말 실업률 전망치를 기존 4%에서 4.4%로 상향, 실업률이 향후 소폭 더 오를 여지가 있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하게 안좋은 수치는 아니며, 금리 인하도 시작되었기에 보다 개선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 부정적인 영향보다는 긍정적인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2024년 3분기 실업률은 4.2%로 증가했습니다. 이는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는 이유 중 하나로 연준이 금리 인하를 결정한 배경이기도 합니다.

    금리 인하는 경기 부양을 목표로 하지만 실업률이 상승하면서 기업들의 고용이 둔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한국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수출과 금융 시장에 압박과 함께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2024년 3분기 실업률은 아직 9월이 끝나지 않아서 집계가 되지 않았지만, FED의 전망치는 연말 실업률이 4.4%로 예상하고 있어서 지난 6월 발표한 예측치 4.0%보다 0.4% 포인트 높인 것으로 봐서 실업률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 2024년 3분기 미국 실업률은 4.4%로 상승했으며, 이는 연준이 예상한 4.0%보다 더 높은 수치입니다.

    실업률 상승은 경기 둔화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특히 이번 9월 FOMC에서 연준이 50bp 금리 인하를 단행한 것은 경기침체 우려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보입니다.

    미국의 경기 둔화는 우리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국 경제가 둔화하면 글로벌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한국의 수출 의존도가 높은 산업에 타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 금리 인하는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한국도 금리 인하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한국의 통화정책에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연준은 이번 금리 인하 이후 추가로 0.5%포인트 인하를 예고했으며,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는 줄어들었지만, 경기침체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2024년 3분기 실업률에 대한 내요잉ㅂ니다.

    최근 2024년 9월 6일에 발표된 미국의 실업률 관련 수치는

    4.2퍼센트로 이전보다는 0.1퍼센트 나아진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직 3분기가 다 지나지 않은 상태라 확정치는 아니지만, 현재시점 기준 약 4.2%로 전분기 4.3%대비 소폭 감소한 수치입니다.

    고용율은 소폭 증가(비농업 부문, 특히 서비스업과 기술 분야)하여 경기침체 우려가 어느정도 내려간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4.2%이며 전월대비 0.1%낮아졌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이민자들 대거 유입으로 인한 수치상이지 실제 중산층 비중이 1/3이 줄었고

    고소득자의 수가 줄고 저소득자의 수만 늘어나

    고물가시대에서 경기가 침체될 확률이 높다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