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23.12.19

전두환은 어떻게 대통령이 될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요즘 서울의 봄 영화가 히트던데요~ 그런데 전두환은 어떻게 대통령이 될 수 있었나요? 국민투표를 하지 않았나요? 그때 데모도 많았다고 하던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80년 8월 16일 최규하 대통령이 전두환 위원장의 사퇴 압력을 받고 물러난 뒤, 헌법에 따라 통일주체국민회의에 의한 대통령보궐선거가 치러지게 되었습니다. 8월 18일부터 23일까지 각 지역에서 연쇄적으로 열린 모든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회의에서 잇따라 만장일치 전두환 추대가 결의되었으며, 22일부터 26일까지 닷새 간 후보 등록을 받은 결과 유일하게 입후보한 전두환 국보위 상임위원장이 압도적인 지지로 대한민국 제11대 대통령에 당선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박정희 대통령은 처음엔 국민들이 직접 뽑는 직선제 투표로 대통령이 되었지만 장기 독재로 점점 자신의 지지율이 떨어지게 되자 계속 대통령이 되려고 간선제 투표로 헌법을 바꾸게 되는데, 이를 10월 유신 혹은 유신정권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독재 연장한 박정희 대통령은 측근이었던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의 배신으로 인해 암살당하게 되는데 이를 10.26 사태라고 하는데요.

    10.26 사태로 박정희의 측근이었던 차지철 경호실장도 함께 살해당하고, 김재규도 대통령 시해 혐의로 체포되자 단기간의 권력의 공백이 생기게 되었는데, 이러한 혼란기에 박정희, 김재규, 차지철 다음으로 박정희의 측근이었던 전두환과 하나회 군인들이 12.12 군사반란을 일으켜 군 권력을 장악한 뒤 이듬해인 5.17 내란으로 정부 권력마저 잡아버렸습니다.

    이후 전두환은 박정희 사후 뽑힌 최규하 대통령을 압박해 사임시킨 뒤 대통령에 취임하였고 이후 개헌을 통해 또다시 대통령에 뽑히게 되었습니다.

    전두환은 간선제로 대통령이 된 것으로

    제11대 대통령은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최규하대통령의 하야로 보궐선거로 당선되고

    제11대 대통령 시절 개헌을 하여 대통령선거인단이라는 대통령 선거를 하는 인원을 선출하여

    제12대 대통령은 대통령 선거인단에서 간선제로 당선된 입니다.

    엄밀히 말해서 전두환도 선거를 통해 당선되기는 했습니다만 당시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이루어진 선거는 일명 체육관 선거, 짜고 치는 고스톱인지라 전혀 민주적이지 않았기에 전두환 정부 시절에 계속 민주주의와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는 야당과 시민들의 민주화 운동이 계속 되었고 결국 나중에 6.29 선언으로 대통령 직선제가 수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투표없었습니다.

    박정희가 갑작스런 암살로 사망한 다음 국무총리의 권한대행이 진행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현 사령관 정승화 VS 다음 독재자를 꿈꾸던 하나회 세력

    의 권력투쟁이 시작되었고, 결과적으로 전두환이 이끄는 세력의 군사반란이 성공해서

    독재자 전두환이 된 것 입니다.

    이 과정에서 국민의 의견은 하나도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데모가 많았던 거구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통령 선거가 통일주체국민회의라는 단체를 통한 간접선거로 치뤄졌기 때문에 제10대 최규하 대통령를 8개월 만에 하야시키고 11대 대통령이 되었으며 국민대표선거인단이라는 명칭만 바꿔서 체육관 선거로 12대 대통령에 당선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보안사령관 전두환은 12.12 군사 반란으로 대한민국을 장악하고 정치적인 실세로 등장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