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한가한베짱이251
한가한베짱이251

주식 종목 중에 주가조작 사실이 확인되면 무조건 상장폐지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전문가님들 가끔 한번씩 특정 종목 주가 조작 기사가 나옵니다. 대부분 우선 거래정지가 되는거 같은데 이후 사실로 확인 되면 무조건 상장폐지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조작 의혹이 있다면 그에 대한 소명을 하게 합니다. 만약 소명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주식정지 후에 일정기간을 주고 그 기간에 해당하는 소명을 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상장폐지를 하게 됩니다.

    상장폐지는 주식시장에서 비상장주식시장으로 실제적인 거래처를 옮긴다는 점에서 단기적으로 수요가 없고, 그에 따라 현금화가 어려워, 주식투자에 조심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보다 객관적인 회사, 실적이 있는 회사에 투자를 하시는것이 단기적으로 장기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종목에서 주가조작 사실이 확인될 경우, 무조건적으로 상장폐지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상장폐지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는 중요한 사유에 해당합니다. 일반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가조작 의혹 발생 및 조사, 거래 정지, 금융당국의 조사 및 사실 확인, 거래소의 상장적격성 심사, 상장폐지 여부 결정을 합니다. 주가조작은 다수의 선량한 투자자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힐 수 있으므로, 거래소는 투자자 보호를 최우선으로 고려합니다. 주가조작 행위는 자본시장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건전한 투자 문화를 저해합니다. 주가조작 행위에 대한 강력한 제재는 유사 범죄의 재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주가조작은 거래소의 상장 규정에서 정하는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익 실현과 투자자 보호를 위해 상장폐지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등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조작 사실이 확인되면 주식은 거래정지될 가능성이 높으며 기업이 연류되거나, 거래량이 거의 없을 정도로 떨어지는 경우 상장폐지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 조작이 사실로 판명 된다 해도 무조건 상장 폐지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우선 거래 정지 후에 한국 거래소의 심사를 거쳐서 상장 적격 실질 검사 대상으로 지정 된 후 개선 기간을 부여 후 상황을 본 후 상장 폐지 유무를 결정 하게 됩니다.

    이때 조작의 심각성 정도, 경영진의 개입 여부 그리고 피해자의 규모에 따라 조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무조건 상폐는 아니고 확률이 높습니다. 주가조작 자체가 위법이기도 하지만 그렇게 했다는 것은 이미 상장회사로서 자격이 없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죠.

    상폐를 막는 방법은 대표 교체를 통해 회사 안정화를 진행하면 되며 심사를 통해 통과가 되면 유지는 가능할 수 있겠습니다.

    현실적으로 보자면 그렇게 유지된다해도 사실상 그 주식을 잘 사진 않겠죠?

    결국 버틸 뿐이며 상폐의 길로 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 조작 세력이 회사 경영진이나 이사진이며 주가 조작에 따른 투자자들의 손실이 큰 경우 상장 폐지까지도 갈 수 있습니다. 상장 폐지 시 선의의 투자자들도 피해를 보기 때문에 상장폐지는 상기 사항에 대한 법적인 검토까지 마친 상태에서 최후의 방안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당 종목이 주가조작에 이용되었다 하더라도 대주주 등의 이해 관계자가 연루되지 않으면 상폐가 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조사후 결정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꼭 그런건 아닙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후 한국거래소의 심사에 따라 유예가 될 수도 있습니다. 한국거래소는 상장적격성 실질심사라는 걸 실시해서, 회사의 경영 투명성, 재무 건전성, 기업 존속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봅니다. 이때 판단 내립니다.

    실제로, CNK인터내셔널은 주가조작 및 경영진의 배임·횡령 등을 상폐됐고, 신라젠은 개선기간 거치고 상장유지된 적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무조건 상장폐지는 아니고 해당 수사가 종료된 뒤에 결정이 됩니다

    • 주가조작을 내부 소행에 의해서 진행을 했다면 상장폐지가 결의 될 가능성도 있지만

      기존 소액 주주들에게 피해가 가기 때문에 보통 상장폐지 결정이 쉽진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주가조작 의혹이 생기면 거래정지가 되고, 이후 주가조작 정황이나 의혹이 사실로 판명나면 해당 기업은 상장폐지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 조작 사태가 있었던 것으로 밝혀지만 상장폐지 수순을 밟을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거래 정지가 되고 나서 주가 조작 관련 진위성을 조사하고 사실이라면 정리 매매 기간 이후에 상장폐지 될수 있습니다.

  • 주가 조작 혐의로 거래 정지된 종목이 모두 상장폐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금융감독원 조사 결과 주가 조작이 사실로 확인되면 주가 조작의 심각성, 투자자 피해 규모, 회사의 개선 노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한국거래소의 심의를 거친 후 상장폐지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는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종목 중에서 주가조작 사실이 확인된다면 상장폐지가 무조건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주식 종목의 주가조작 사실이 확인이 된다면

    해당 종목은 상장폐지 될 수 있지만 무조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보다 엄격하게 심사해서 처벌이 뒤따르게 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