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기민한까마귀81
기민한까마귀8123.05.09

멍은 왜 면적이 넓어지면서 없어지나요?

처음 멍이 들면 이후 그 자리에서 주변으로 퍼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서서히 통증도 없어지면서 시퍼런 색상도 옅어지는데요. 왜 그런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멍은 타박상이나 외상에 의해 생기는 자국으로 외력이 가해진 곳의 근육 내 혈관벽이 파열되면서 새어 나온 혈액이 피부층으로 스며 나온 현상이 바로 멍입니다.

    멍이 처음 생겼을 때는 붉은 색의 피가 차올랐다 시간이 지나면 피가 산화돼 파란색으로 변하고 좀 더 시간이 지나면 보라색으로 색이 짙어지게 됩니다.

    멍이 주변으로 퍼지는 것은 혈액이 피부층에 퍼져나가기 때문이며 퍼진 피가 우리 몸에 재흡수되며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멍이 생기면서 피부에 상처가 생기고, 상처 부위에서 혈관이 파열되어서 출혈이 일어납니다. 출혈 부위에서 혈액 성분이 주변 조직으로 노출되면 멍이 생기고, 멍이 생긴 부위에서 노출된 혈액 성분이 주변 조직으로 퍼지면서 멍이 점차 커지는 것입니다. 멍이 생긴 후 시간이 지나면서 멍 주변에 색상이 변하는 것은 멍이 생기면서 파열된 혈관이 혈액을 흡수하면서 색이 변하는 것입니다. 멍이 점차 서서히 사라지는 것은 몸이 멍 부위에 쌓인 혈액을 분해하고 흡수하면서 멍이 사라지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