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23.06.09

면세점과 기내 면세점은 무엇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우리가 해외여행이 쉽게 가기 쉬어지면서 궁금한 점이 생기더라구요~ 면세점을 꼭 들려 물건을 사는데 부족하면 기내에서 한번 더 사더라구요~ 근데 면세점과 기내면세점은 무엇이 다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공항 등에 있는 면세점과 기내 면세점은 대부분 동일한 기준이 적용됩니다만, 일부 가격 등에 다소 차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공항 등에 있는 면세점은 운영하는 사업자가 임대료를 지불하고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기내 면세점보다 가격이 높을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그리고 기내 면세품은 새로운 상품 팜플릿이 출간되기 전까지는 픽스된 환율로 일정 기간 동안 상품 판매가 이루어지므로 상품 구매하는 시기에 환율 인상이 있을 경우에는 공항 등에 있는 면세점 보다 더 유리하게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면세점, 기내면세점은 동일한 개념으로 면세품을 판매한다는점에서 동일합니다.


    다만 통상적으로 국내 면세점들이 규모의 경제를 통하여 저렴한 가격에 판매를 하며 프로모션도 많이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내면세점의 경우 환율을 월에 1회 설정하기때문에 이러한 부분에서 환율이 급등하는 경우 유리할때가 있기에 환율의 변동이 큰 경우에는 활용하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1. 관세법상 보세판매장에 해당하는 면세점은 운영방식에 따라 공항면세점, 시내면제점, 기내면제점 등으로 구분됩니다.

    2. 공항면세점은 롯데, 신세계, 현대 등 대기업들이 주로 운영하는 면세점으로, 경쟁입찰을 통해 면세점 사업을 따서 공항내에 입점해 점포를 운영하기 때문에 대부분 면세품을 판매하여 공항 점포 임차료, 판매직원 급여 등을 지급해 주고, 출국시 면세품을 구입하면 여행기간 내내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입국면세점도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또한 온라인 예약하여 면세품을 구매할 경우 각종 할인도 하고 쿠폰이나 특가행사, 포인트 적립 등 추가할인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3. 기내면세점은 각 항공사에서 세금납부 의무가 없는 항공기내에서 면세품을 판매하는 것으로 따로 시설이나 점원 등이 필요 없기 때문에, 공항면세점보다 가격이 조금 싼 경향이 있으나, 대신 물건의 수량과 품목이 다양하지 않고 매우 제한적이며, 대부분 항공사가 기내면세점을 운영하므로 티켓 구매 전에 구입할 품목을 비교하고 티켓을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 일반 공항면세점이나 기내 면세점은 보세 상태이 물품을 판매 한다는 점은 동일하지만 공항이나 항구에 위치한 면세판매점은 우리나라의 세금이 보류되어 있는 상태인 보세 상품을 판매 하는보세 판매장이고 기내 면세점은 판매하는 비행기의 국적에 따른 국가의 관세, 내국세 등이 유보되어 있는 물품의 판매라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기존에는 기내 면세점에서는 구매 한도가 없고 국내 공항의 면세점에서는 구매 한도(3000불) 가 있었으나 2022년에 공항내 면세점에서 구내한도가 폐지 되어 동일하게 구매 한도가 없으며 면세 한도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차이점이라고 하면 인도 장소가 기내 면세점은 기내에서만 인도가 가능하며 기내 적재해야하는 공간의 한계로 취급하는 물품이 내국 면세점이나 일반적인 공항내 면세점보다 작은 특징이 있습니다.

    동일하게 관세법 규정에 의거하여, 면세한도를 초과하여 구입하신 후 입국 시 신고하지 않고 반입하려다 적발되면 밀수로 간주되어 관세법 위반으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가 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기내면세점도 세금이 부과되기 전, 즉 세금이 보류된(보세) 상태의 물건을 판다는 점에서 시내면세점이나 출국장 면세점, 입국장 면세점과 동일합니다.

    다만, 지정된 판매장에서 판매하는게 아닌 비행기 내에서 판매한다는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기내 면세점의 가장 큰 장점은 여행 내내 구매물품을 들고 다닐 필요가 없다는 점입니다.

    출국과 입국 시 같은 항공사를 이용할 경우 출국할 때 예약구매해서 입국할 때 수령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사실 그리 큰 차이는 없다고 생각됩니다만, 면세점을 운영하는 주체 입장에서는 여러가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008310127172420101343&lcode=00

    조금 오래된 자료지만 기내면세점과 일반 면세점의 차이에 대한 기사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taxwatch.co.kr/article/tax/2019/07/03/0006

    다만, 현재 여행자휴대품의 한도는 미화 600달러에서 미화 800달러로 인상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비행기 내 면세점은 세금이 부과되기 전, 즉 세금이 보류된 (보세) 상태의 물건을 판매하는 시내면세점, 출국장 면세점, 입국장 면세점과 동일한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다만, 비행기 내 면세점은 지정된 판매장이 아닌 하늘을 떠 다니는 비행기에서 판매되는 차이가 있으며, 항공사가 운영하는 것으로 항공사의 면세점 매출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항공사가 운영하는 온라인 기내 면세점 사이트를 통해 사전 구매 예약을 할 경우 추가 할인 혜택이나 다양한 사은품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