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도그는강아지
도그는강아지

생태계교란종은 어떤 생물인지 궁금합니다

생태계교란종은 어떤식물과 동물이 있으며 교란종으로 지정된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이 생물은 어떻게 처리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에 의하면 "생태계교란 생물"이란 '유입주의 생물 및 외래생물 중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 또는 '유입주의 생물이나 외래생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생물 중 특정 지역에서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생물로서 제21조의2제1항에 따른 위해성평가 결과 생태계 등에 미치는 위해가 큰 것으로 판단되어 환경부장관이 지정·고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외국에서 유입되었거나 자생하는 생물 중에서 국내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8년 2월에 황소개구리, 큰입배스, 파랑볼우럭을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한 후, 그 수가 늘어 현재 총 38종 (동물 21종, 식물 17종)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우리나라의 주요 생태계교란 생물은 뉴트리아, 가시박 등이 있습니다. 생태교란종은 말 그대로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여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포획하거나 제거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된 동식물은 그 자체만으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더라도, 특정지역에서 너무 잘 적응해 자신을 제외한 다른 동식물을 절멸시키거나, 그 수를 심각하게 감소시켜 그로 인해 이차적인 문제(감염병의 창궐, 해충의 창궐 등…)를 일으키는 생물을 총칭합니다.

    과거 황소개구리나 베스가 이에 포함되는 대표적인 사례였는데요. 해당 동물은 원래 식용이나 산업용으로 도입된 동물들이었으나, 상품성이 적어 대중화가 실패해 해외에서 들여온 이 동물들을 대부분 안락사나 살처분하지 않고 그대로 자연에 방목했습니다. 그런데, 이 동물들에 대한 천적이 없고 기후 마저 이 동물들이 살기에 쾌적했기에 그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다른 토착종을 파괴하게 되었지요.

    현재는 지구온난화 등을 통해 과거만큼 관심대상은 아니게 되었으나, 이들 말고 뉴트리아나 붉은귀거북 등 다른 생태계교란종이 범람하고 있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론 살처분을 통한 개체수 감소를 통해 개체수를 조절하되, 학계에서는 이 동물에서 얻을 수 있는 이점(식품, 영양분, 혹은 가축화)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연구하지요.

  • 생태계교란종은 외래종 중에서 생태계, 인간의 건강, 경제에 해를 끼치는 생물종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식물로는 가시박, 미국쑥부쟁이, 돼지풀 등이 있으며, 동물로는 붉은불개미, 뉴트리아, 블루길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자연 서식지에서 빠르게 번식하거나 토착종의 서식지를 파괴하여 생태계를 혼란에 빠뜨립니다. 교란종으로 지정된 이유는 이러한 생물들이 생태적 균형을 무너뜨리고 농업, 수산업 등 경제적 피해를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처리는 주로 물리적 제거, 화학적 처리, 생물학적 방법(천적 도입)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생태계 교란종은 원래의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식물이나 동물을 의미합니다. 

    1. 전초무늬풀: 이 식물은 빠르게 번식하여 토착 식물의 생장을 방해합니다.

    2. 유럽갈대: 이 식물은 수생 생태계에서 다른 식물의 서식을 방해하여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킵니다.

    교란종으로 지정된 이유는 이들이 원래 생태계의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고, 토착 생물의 생존을 위협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생물들이 자원 경쟁, 질병 전파 등의 방식으로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