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안과 이미지
안과의료상담
안과 이미지
안과의료상담
신중한테리어229
신중한테리어22921.07.01

치주질환이 오면 치매가 올수있나요?

주위사람들이 그러는데 치주염을 앓으면 치매가 오기쉬운가요? 저는 치아와 잇몸이 많이 안좋아요

여러사람이 그렇다고하니 걱정이 많이됩니다 치아가 본디 이빨이 많이 없고 브릿지를 많이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최근연구에 따르면 치아가 없는 경우 저작에의한 뇌자극이 없기 때문에 치매에 잘 걸린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치주염은 치아를 상실하게 하는 주원인이기 때문에 치과병원에서 주기적인 치료를 통해서 치아가 상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주염 등의 치주질환을 발생시키는 균과 염증은 장기간 지속된다면 경도인지장애 및 알츠하이머 치매를 발생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질문자님의 문의에 답변을 드리자면 치주질환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에 치매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지는 않지만 있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주질환은 잇몸질환을 말합니다. 이것과 치매와의 연관성은 낮습니다.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알츠하이머형 치매에서 나타나는 뇌내 노인반의 주성분인 뇌내 아밀로이드 베타가 치주질환에 걸린 사람의 치경에서 생산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그동안 임상연구에서는 치주질환의 이환과 인지기능 저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 치주질환의 원인세균인 진지발리스균(Pg균) 성분이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의 뇌에서 검출되면서 치주질환이 알츠하이머형 치매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일본 규슈대를 비롯한 연구팀은 치주질환 환자의 치주조직을 해석한 결과, 염증 및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세포의 일종인 마크로파지로부터 아밀로이드 베타가 생산되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Pg균을 전신에 투여한 쥐의 간에서도 염증을 일으킨 마크로파지에 아밀로이드 베타가 유도됐다.

    Pg균을 감염시킨 간에서 아밀로이드 베타의 대사를 해석한 결과, 아밀로이드 베타의 생산효소인 카텝신B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연구팀은 Pg균에 의한 염증성 마크로파지가 카텝신B에 의존해 아밀로이드 베타의 생산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 배양 마크로파지를 이용해 해석한 결과, 카텝신B 특이적 저해제로 아밀로이드 베타의 생산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

    그동안 아밀로이드 베타는 뇌 속에서 생산 및 축적되어 노인반을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돼 왔으나, 이번 연구는 Pg균에 기인된 전신의 염증조직에서 마크로파지가 카텝신B를 매개로 아밀로이드 베타 노인반의 재료가 될 수 있음을 시시하고 있다.

    앞으로 카텝신B를 새로운 치료표적으로 함에 따라 치주질환에 의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발병 및 진행을 늦출 수 있을 전망이다.

    출처 : 의학신문(http://www.bosa.co.kr)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주염이 지속되는경우, 심장질환, 동맥경화, 뇌졸중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치아가 없는경우, 저작시의 감각, 고유감각등이 저하되기 때문에, 아무래도 인지기능이 떨어집니다.

    또한 치주질환의 주요 유발세균인 P.G는 알츠하이머를 유발한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주질환과 치매의 직접적인 상관성은 없습니다. 다만 치주질환으로 인하여 치아가 많이 상실될 경우 저작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저작률이 떨어지게 되면 뇌에 치매 및 알츠하이머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보고는 있습니다.

    즉 치주질환보다는 이로인한 치아 상실로 치매가 올 가능성이 커진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부 연구에서 치주 질환이 있는 경우, 즉 만성 염증이 있는 경우에 여러가지 만성 질환의 위험도가 올라간다는 결과가 보고된 바가 있습니다. 다만 지금까지 보고된 연구만을 가지고 치주염을 자주 앓는다고 치매가 잘 온다고 결론 짓기는 어렵습니다. 치매라는 질환 자체가 다양한 원인이 작용하기 때문이기도 하구요. 어쨌든 치주 질환을 비롯하여 만성 염증성 질환을 잘 조절하는 것은 건강에 더 이로운 것은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많은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잇몸 건강이 치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보고들이 많이 있습니다.

    치아 수가 감소되고 잇몸에 염증이 있으면 씹기가 힘들어지고 뇌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하고 뇌의 대사 활동과 신견 활동이 감소하며 전신적인 영양불균형을 유발하여 인지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해 치매 위험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