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성실한따오기76
성실한따오기76

아이가 손톱을 물어뜯는 행동을 어떻게 고칠 수 있나요?

종종 아이들이 커가면서 안좋은 습관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요, 주변 지인의 경우에는 아이가 손톱을 자주 물어뜯는 습관이 생겨서 난처하다고 하더라고요. 아이가 시도때도없이 손톱을 물어뜯다보니 손톱이 닳고 피까지 난다고 하던데, 이런 아이들의 손톱 물어뜯는 습관은 어떻게하면 고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가 손톱을 물어뜯는 행동을 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손톱을 깨무는 습관이 장기화된 사람들은 손톱뿐 아니라 손톱 주변의 살까지 깨무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손톱 주변의 피부까지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피부 껍질이 일어나고 상처가 난 부위에 입안의 세균이 옮겨 붙으면 감염증이 일어날 우려가 있답니다.

    개선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와 손톱 물어뜯기 관련된 책을 읽어주고 대화를 나눕니다. ('손톱 깨물기_길벗출판사')

    -손톱에 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밴드를 붙여줍니다.

    -손톱을 물어뜯지 않을 때 보상주기

    -손톱 물어뜯기 방지용 매니큐어 바르기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손톱을 물어뜯는 원인은 다음과 같겠습니다.

    유치원.어린이집,.학교. 학원 등에서 친구가 손톱을 물어뜯는 것을 보고 따라한 경우, 애정결핍, 욕구불만, 학습 및 놀이가 지루하고 따분하고 재미가 없어서, 배가 고파서, 불안해서 등의 원인이 대표적 이겠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러한 행동들이 심리적,정신적으로 인해서 오는 것들이기 때문에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루 중 안 좋은 경험으로 인해서 그런 것은 아닌지 등을 살펴보고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아이의 심리적.정신적 부분을 치유해 주는 것이 좋겠구요.

    더나아가 아이에게 손톱을 왜 물어뜯으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손톱뜯는건 아이가 스트레스가커서그래요

    아이에게스트레스받는상황을줄이면좋아질겁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손톱을 물어뜯는 행동은 불안과 스트레스를 이러한 행동으로 푸는겁니다 이런행동이 나올때 아이관심을 딴곳으로 돌리고 대체활동을 제시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손톱을 물어뜯는 행동은 흔히 스트레스, 불안, 지루함, 혹은 습관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일 수 있습니다. 이는 대부분 자연스럽게 지나갈 수 있지만, 만약 아이가 계속해서 손톱을 물어뜯어 상처나 감염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면 적절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아이에게 손톱을 물어뜯지 않도록 하는 방법 중 하나는 긍정적인 강화입니다. 손톱을 물어뜯지 않았을 때 칭찬하거나 보상을 주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하루 동안 손톱을 물어뜯지 않았을 때 작은 보상을 주거나 칭찬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올바른 행동을 했을 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 점차 손톱을 물어뜯는 행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아이의 손톱 물어뜯는 습관은 대개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개선될 수 있지만, 부모의 인내와 일관된 지원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이 습관을 고치도록 도와주려면 인내심을 가지고, 아이에게 긍정적인 환경과 대체 행동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손톱 물어뜯는 습관을 고치려면 바로 이렇게 해주시기를 바라도록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손톱을 자주 뜯는다는것은 습관적인 부분으로도 볼수있으며

    과한경우는 불안감이 커서 그럴수있기에

    아이의 불안을 야기하는 요인을 찾아보시는것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톱을 물어 뜯는 행동의 원인을 먼저 살펴 보는 게 좋습니다. 단순한 습관일 수도 있고 아니면 불안이나 긴장감 등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의 표현일 수도 있어요. 그걸 발견한 뒤에, 그에 따라서 아이의 감정을 조금 다스릴 수 있도록 방법을 마련해 보거나 다른 대체 수단을 확보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