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암이 뇌로전이된 뇌졸중 환자의 완치 경우와 탈골 문제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난소암이 뇌로 전이되어 뇌졸중 증상이 온 여성 환자가 왼손 잡이입니다.
왼쪽이 아닌 오른쪽 편마비 증상이 왔습니다.
편마비로 인해 오른팔이 탈골까지 되었습니다.
여기서 질문드립니다.
현재 편마비로 인해 잘 걷지도 못하며 탈골된 팔로 인해 한쪽팔은 여전히 쓰질 못합니다.
이상황에서 탈골된 팔은 뇌졸중 증상이 좋아지게 되면 탈골된 팔도 좋아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탈골된 팔을 뇌졸중 증상이 좋아질 떄 병원에 가서 치료받아도 늦지 않은 것인지 질문드립니다.
탈골된 팔은 계속 마사지만 하면서 조금씩 움직이게 해서 운동을 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난소암이 뇌로 전이된 뇌졸중 증상은 난소암이 좋아져야 좋아질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뇌졸중은 좋아지면 이전처럼 말을 잘 할 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뇌졸중 증상으로 인해 말도 잘 하지 못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뇌졸증으로 인해 이미 뇌에 손상이 발생했을 것으로 예상 됩니다. 난소암이 좋아진다고 해도 손상 당한 부분이 좋아지기는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마비로 인한 어깨의 탈구 같은 경우 재활치료를 받게 되면 증상이 호전 될 수는 있으나 일반적인 분들에 비해서는 치료시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 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뇌졸중은 이를 뇌를 손상 받았기 때문에 난소암이 좋아진다고 하여도 손상 받은 부분은 좋아 질 수가 없습니다.
뇌졸중으로 마비측 어깨가 탈구 되었다면 심해질 수록 회복하기가 힘들 수도 있으며 더 이상 탈구가 진행되지 않도록 암 슬링 등 보조기를 착용하시는 것이 좋으며 재활치료을 받게 되면 증상이 호전될 수도 있기 때문에 꾸준히 재활치료를 받아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상황이 매우 복잡하고 심각해 보입니다. 뇌졸중으로 인하 ㄴ편마비 증상이 개선되면 그에 따라 팔의 기능도 일부 회복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탈골된 팔은 별도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종합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고 필요한 치료를 받기 위해 전문 의료진과 긴밀하게 협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건강이 최우선이니 적절한 조치를 취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편마비로 인한 팔의 탈골은 편마비가 회복되어도 스스로 제자리로 돌아가는 것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탈골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병행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팔의 탈골에 대한 치료는 가급적 빨리 시행하시는 방법을 추천드리고, 언어치료도 병행하셔서 언어능력의 회복을 기대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전이된 암의 치료가능성에 대해서는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예후를 판단하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이 되는데요, 이는 개개인의 질병의 상태에 대한 객관적인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단적인 글로는 예측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
탈골된 팔이 뇌졸중 증상이 좋아지면 회복될 가능성이 있지만 이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는 뇌의 특정부위가 손상되면서 발생하며 이로 인해 팔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뇌졸중 증상이 개선되면 팔의 기능도 회복될 수 있지만 탈골된 상태가 지속되면 회복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탈골된 팔은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뇌졸중 증상이 개선되더라도 탈골이 치료되지 않으면 팔의 기능 회복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셔야합니다
일단 탈골되었으면 가능한 빨리 병원에 가는것이 좋습니다 뇌졸중증상이 좋아질때 까지 기다리는것보다 현재의 상태에서 치료를 받으셔야하고 늦을수록 팔의 기능회복이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
난소암이 뇌로 전이된 경우 암의 진행상태가 뇌졸중 증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난소암이 치료되어 상태가 개선되면 뇌로 전이로인한 증상도 개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뇌졸중 후 회복과정에서 언어기능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뇌졸중으로 인한 언어장애는 뇌의 특정부위가 손상되면서 발생하는데 재활치료를 통해 언어 기능이 회복될 수 있습니다 언어치료를 통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수 있으며 이는 뇌졸중 증상이 개선되는 과정에서 이루어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