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4.01.22

무신의난은 어떤 배경에서 생겨난걸까요?

무신의 난은 고려시대에 무신들이 일어나 봉기한 난이라고 아는데요. 이런 무신의 난이 일어난 사회적 배경이 궁금합니다.

어떤게 시발점이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신의 난이 일어나게 된 배경에는 문신들에 대한 무신들의 오랜 차별이 있었습니다. 고려 시대에는 문신에 비해 무신의 대우가 낮았으며, 무신들이 참여하는 전쟁에서도 최고 지휘관은 문신들이 맡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또한, 무신들은 대부분 학문과는 거리가 있었으며 지적 소양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문신들에게천대를 받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자겸의 난,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을 수습한 후 국정은 안정을 되찾았지만, 문벌 사회의 모순에 대한 개혁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의종은 젊은 문신과 함께 향락에 빠져 실정을 거듭하였습니다.

    반면 무신은 승진에서 제한되거나 여러 가지 차별을 받았고, 일부 젊은 문신 에게 모욕을 받으면서 분노가 쌓여 갔다. 하급 군인도 토지를 제대로 지급받지 못한 채 잡역에 자주 동원되어 불만이 많았습니다. 결국 정중부 등 무신이 정변을 일으켜 많은 문신을 죽이고 왕을 교체하였습니다(1170).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신란은 1170년 8월 문신 위주의 폐정에 반발해 정중부, 이의방, 이고 등 일부 무신들이 일으킨 것으로 이것이 성공해 이후 100년간 무신 집정자가 권력을 장악하는 무신 정권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1170년 무신란 이전에도 1014년 토지 지급을 둘러싼 문신, 무신 간의 갈등으로 상장군 김훈, 최질 등의 무신이 정변을 일으켜 일시 정권을 장악한 전례가 있었습니다.

    무신란이 발발한 12세기 후반 고려 의종 대는 오랜 기간 평화로운 시기가 지속되나 내부적으로는 민생의 악화와 지배층 내의 분열이 심화되어 간 시기, 인종 대 이후 왕권이 실추한 상태에서 의종은 일부 문신들을 중심으로 측근 세력을 육성해 이를 타개하고자 합니다.

    문신과 무신 간의 갈등이 깊어진 것도 그 하나였으나 의종의 잦은 유연과 불안정한 정치 운영은 상황을 더 악화시켰습니다.

    주요 계기는 문무 간의 심한 차별로, 여진 정벌 이후 인종 대에 무신에 대한 멸시 풍조가 있었고 이것이 의종 대에 더욱 심해집니다. 무신 정중부가 김부식의 아들 김돈중에게 수염을 태우는 모욕을 당하는 사건은 무신들의 불만과 감정을 축적하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또한 군인들의 불평도 중요 요인으로, 의종은 왕권 강화를 위해 문신, 무신 측근 세력을 중심으로 정치 운영을 했는데 이로 인해 관료 제도가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자의적 정치가 심화, 이에 도리어 국왕의 권위는 약화하고 지지 기반이 위축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문신이 세대를 거듭할수록 무신을 우습게 여기고 심한 차별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휼륭한 장군의 수염에 장난으로 불을 부쳐서 태운게 무신의 난의 큰 배경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