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아하그렇구나생각하면 아하!!
아하그렇구나생각하면 아하!!

한번 울면 신경써줄 때까지 계속 우는 아이 어떻게?

만3세 둘째 딸 아이가 한번 울면 신경을 써주거나 관심을 가져주어야 그때서야 그칩니다.

버릇을 고칠려고 계속 신경을 안써주면 끝까지 계속 울고요.

어떻게 해야 이러한 버릇을 고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한 번 울면 신경써 줄 때 까지 계속 우는 이유는 고집을 보여주는 행동 입니다.

    즉, 내가 우는데 엄마가 언제까지 날 내버려 두는지 보자 라는 식으로 자기에게 관심을 줄 때 까지 울면서 버티는 것 입니다.

    아이가 운다면 아이를 바르게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우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우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떼를 쓰고 있다고 보여 집니다 아이들은 본인 원하는 걸 쉽게 얻기 위해 울거나 소리를 질러

    엄마나 아빠에게 원하는 걸 얻으려 합니다

    말로 해서 엄마나 아빠를 설득 하는 것보다 울거나 소리를 질러 얻는 것이 편하고 효과가 좋다는 걸 학습

    했기 때문에 말을 하지 않고 소리 지르거나 울거나 합니다

    우선 아이에게 울거나 소리 지르니깐 너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수가 없어 라고 이야기 하고

    말로 해야 엄마 아빠가 너가 원하는 걸 해줄수 있다고 이야기 하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에는 울다가 소리 지르다가 엄마 아빠가 반응이 없으면 뒤로 넘어 가거나 주저 앉기도 합니다

    여기서 아이가 원하는 걸 들어 주게 되면 다음 부터는 무조건 뒤로 넘어 가거나 주저 앉는 걸 먼저 합니다

    울지 않고 말로 안 하면 원하는 걸 얻을 수 없다고 단호하고 명확 하게 이야기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울음을 울지 않아도 충분히 관심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세요

    울음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알려 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왜 우는지 먼저 이해하려고 해보세요 아이의 감정을 인저앟고 '너가 슬푸구나' 또는 '너가 원하는게 있었구나'라고 말해주면 아이가 더 안정감을 느낄 숭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말씀하신바와 같이 자기 의사 표현을 울음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에는 아이들이 말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당연하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아이들이 일부러 우는경우도 많습니다. 자기가 하고 싶은것을 이룰때까지 우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부모님께서 버릇을 잘못 들여주신것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아이가 울때 아이가 원하는것을 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게 되면 이는 아이들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겠습니다. 울게 되면 원하는것을 얻으니 엄마가 달래주더라도 울음을 그치지 않을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가 한번 울면 신경써줄때까지 운다면 그건 아이가 부모님의 패턴을 알고 습관적으로 본인이 원하는 걸 들어줄때까지 우는거같습니다 그러니 아기가 습관이 들지 않도록 적당한 텀을 두고 울어도 즉시 안아주지마시고 적당히 안아주고 챙겨주심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울음이 주목받기 위한 습관으로 자리잡는 경우, 관심을 주지 않는 것이 중요할 수 있지만, 완전히 무시하는 것은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울음을 멈출 때까지 아이에게 관심을 주는 대신, 차분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대응하는 것이 좋습니다. 울 때 바로 반응하지 않고, 아이가 스스로 진정할 수 있는 시간을 주면서도, 울음이 끝난 후에 관심과 애정을 표현해주는 방식으로 아이가 스스로 감정을 조절하는 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중요한 점은 아이가 진정하고 나면 긍정적인 방식으로 관심을 받는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입니다. 또한, 아이에게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금 속상한 거야?"라고 물어보고,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