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시뻘건앵무새111
시뻘건앵무새111

사람의 시선이 중요한 사람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두아이를 키우고 있는데요...

아이를 키우다보니 아이의 행동 하나하나에 사람의 시선이 느껴질때

아이를 혼내게 되는데요...

잘못된 행동이 크게 아닐지라고

주변 사람들의 시선이 느껴지게 되면 혼내게 됩니다....

제가 잘못하고 있는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면서 아이를 훈육 하시긴 보다는

    정말 우리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했거나, 잘못된 언행을 내뱉었다면 단호하고 일관성 있게 훈육을 하면 됩니다.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었거나,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을 했다면 아닌 것은 아니라고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크게 잘못된 행동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을 의식해서 아이를 나무란다면 아이의 자존심과 자존감을 떨어뜨리는 행동 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앞서 언급했듯 아이의 잘못된 행동과 언행을 보였다면 아이를 사람이 보이지 않는 곳으로 데려가 지금 한 행동과 언행은 옳지 않아 라고 단호하게 말을 해주고, 왜 그 행동과 언행이 잘못 되었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를 키우면서 주변 사람들의 시선이 신경 쓰여 혼을 내는 상황은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그러나 이렇게 사람들의 시선에 의해 아이를 혼내는 것은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답니다. 아이는 부모의 반응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자신의 행동이 외부의 시선 때문에 혼나는 것처럼 느껴지면 혼란스러워하거나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사실 사람의 시선보다 중요한 것은 아이의 행동을 그 자체로 이해하고,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아이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것입니다. 잘못된 행동이라면 그 행동이 왜 잘못된 것인지 아이에게 차분히 설명하고 가르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단순히 주변의 눈치를 보고 혼을 내는 것은 아이가 그 행동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아이를 키우는 과정에서는 완벽할 필요가 없습니다. 주변의 시선에 휘둘리기보다는 아이의 발달 단계와 감정을 먼저 이해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지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람의 시선이 중요한 사람도 많습니다.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타인의 시선은 자아 존중감과 소속감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입장에서 볼때는 일관적이지 않게 훈육을 한다 느낄 때도 있을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것 처럼 사람들의 시선에 의해 혼내는 것 보다 아이와의 약속과 규칙정하기에 의한 훈육이 되어야 덜 감정적일 수 있고, 아이도 더 수긍을 잘 할 수 있을 거라 생각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안녕하세요

    두아이를 키우고 있는데요...

    아이를 키우다보니 아이의 행동 하나하나에 사람의 시선이 느껴질때

    아이를 혼내게 되는데요...

    잘못된 행동이 크게 아닐지라고

    주변 사람들의 시선이 느껴지게 되면 혼내게 됩니다....

    제가 잘못하고 있는거죠?

    훈육시엔 아이가 잘못한 행동에 대해서만 훈육이 필요하며 감정이 섞이지 말아하 합니다.

    타인의 시선에 훈육이 필요하다고 느끼셨을때는 하실수있지만 너무 타인을 의식하고 아이를 야단치게되면 기죽을수 있으니 기준을 정하시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훈육을 할때는 아이의 잘못의 유무나 따라서만 일관성을 가지고 해주셔야 합니다.

    주변 시선에 따라서 혼내거나, 다른 상황에 따라서 혼내는 것은

    아이에게 혼란을 초래하고, 아이에게 안 좋은 감정만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람의 시선이 중요한 사람도있습니다 타인의 시선에 민감하여 본인행동을 조심하거나 자꾸 타인의 반응을 신경쓰는 사람을 주변에서 볼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