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개월 아기 행동반응에 대해 궁금증이있어요
이제 13개월 된 남아를 키우고 있습니다. 평소에 잘 따르고 저보고 웃고 하는데요
이상하게 저녁에 자다가 깨면 엄마가 없고 아빠인 저만 있으면 울어요
낮잠을 자다 깼을때 같은 상황이면 웃으면서 안기고 그러는데 유독 저녁때만 그렇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기가 아빠와 있을 때 우는 이유는
주 양육자가 엄마라서 그렇습니다.
아기는 주 양육자가 있으면 안정감을 느끼지만 주 양육자가 곁에 없음을 느끼면 불안함을 느낍니다.
아기에게 주어야 할 것은 엄마 못지 않게 아빠도 너를 사랑하고 아끼고 애정하고 관심을 주고 늘 널 지켜보고 있어
라는 것을 아기에게 언어로 행동으로 자주 보여주셔야 합니다.
아기가 피부로 직접 느낄 수 있도록요.
아기와 자주 눈맞춤 하며 대화를 나누고 신체적인 접촉을 하고 놀이를 하면서 아기와 거리의 관계를 좀 더
좁혀나가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13개월된남자아이의 행동을보면 평소에는 잘 따르고 아빠에게도 웃으며 친근하게 반응하고
낮잠에서 깼을 때도 아빠가 있으면 편안하게 안기고 웃지만
하지만 저녁에 자다가 깨어 엄마가없고 아빠만 있을 경우 울음을 터트리는건 아이가 저녁에 특히 엄마의 존재를 더 강하게 필요로하고 밤이라는 시간대에 안정감을 더 크게요구하기 때문일겁니다
아이가 낮과 밤의 환경차이나 감정적인 안정감 차이를 느끼며 엄마와의 애착을 더욱 강하게 표현하는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13개월 된 아이가 밤에 자다가 깼을 때 엄마가 없고 아빠만 있으면 우는 현상은 이 시기 아기들에게 매우 흔한 정서적 반응입니다.
이는 주로 분리불안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밤에는 낮보다 환경이 조용하고 어두워 아기가 더 불안함을 느끼기 쉽습니다. 낮잠 후에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태라 아빠에게도 웃으며 반응할 수 있지만, 밤에는 잠결에 엄마를 기대하는 경향이 강해 아빠가 대신 있으면 당황하고 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엄마와의 애착이 잘 형성된 증거이며, 동시에 아빠와의 애착도 키워갈 필요가 있다는 신호이기도 합니다.
아빠가 잠자기 전 루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아기가 밤에 깼을 때도 일관되고 안정된 태도로 대응하면 점차 아빠에 대한 신뢰감도 생깁니다.
또한 엄마와 아빠가 함께 아이와 보내는 시간을 늘리면 두 사람 모두가 안정의 대상으로 자리잡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런 반응은 시간이 지나며 자연스럽게 줄어들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13개월이면 애착 형성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입니다.
특히 주양육자인 엄마에게 강한 정서적 안정감을 느낀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루 동아의 피로 누적, 분리불안의 자연스러운 발현, 엄마와의 애착이 강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아이는 엄마가 눈에 보이지 않을 경우 엄마를 찾게 됩니다.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이라고 이해하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13개월 아기는 낮과 밤의 불안 저도가 다릅니다. 밤에는 주변이 어둡고 조용해 더 낯설고 불안해서 주양육자인 엄마를 더 찾게 됩니다. 낮잠에서 깨면 밝고 익숙해 불안이 적어 아빠에게도 잘 안기는 겁니다. 성장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분리 불안 반응이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주 양육자인 엄마에게 강한 애착형성이 되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특히 밤에 불안하거나 무서운 감정이 들 수 있거든요, 그러면 자연적으로 엄마를 찾게 되는 거죠.
아빠와의 애착 시간도 늘리면 자연스럽게 아기도 적응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주된 양육자가 엄마이라면 아이는 엄마를 더 찾을수 있습니다. 낮동안은 아빠와 눈맞춤하며 잘 지내지만 유독 밤엔 엄마와 함께 해야 안정감이 들기때문에 그렇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엄마에 대한 애착 때문입니다. 엄마가 조금 더 친숙하게 느끼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