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방송에서 인터넷 미아 증후군이라 들었는데 이게 정확히 뭔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50

방송을 보다보니

요즘 사람들이

인터넷 미아증후군에 많이 시달린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인터넷 사용이라면

저도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로

다들 그렇듯이

이런저런 알고리즘의 노예처럼

많은 정보를 스마트 폰으로 접하게 되는데요

그럼 인터넷 미아 증후군이란 정확히 뭔가요?

저도 그 증후군이 아닐까 좀 걱정이 되긴하는데

인터넷 미아 증후군이라면

그걸 해결하기 위한

공식적인 과학적 방법이 혹시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인터넷 미아 증후군이라는 것은 공식적인 의학적 용어는 아닙니다만 디지털 정보 과잉 시대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인터넷에서 너무 많은 정보를 접하다 보니 방향을 잃고 떠도는 미아처럼 생각과 집중이 산만해지고 깊이있는 사고나 판단이 어려워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짧은 글에만 집중 가능해지며 정보는 많지만 정리가 잘 안 되고 결론을 내리기 어려워집니다. 뭔가를 찾기 위해 검색하다가 너무 많은 선택지에 지치고, 무의식적인 소비를 반복하게 되며 집중력 저하, 맥락이 끊긴 사고, 기억력 저하 등에 이릅니다.

    뇌는 원래 깊은 집중 - 판단 - 정리 과정을 통해 학습하는데 인터넷은 빠른클릭 - 짧은 자극 - 즉시 소비 하는 방식에 익숙해지게 만들어서 심층적인 사고회로를 마비시킵니다. 이에 따라 뇌의 전두엽 피로로 인지기능이 저하되고 도파민 과잉 자극으로,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무기력해지고 집중력이 떨어집니다.

    해결 방법으로는 하루 1-2시간 정도는 스마트폰 없이 보내는 것이 좋고 독서나 대화, 운동 등 오프라인 활동을 늘려보는 것이 좋습니다. 명상이나 심호흡 등도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요즘 들어 '인터넷 미아 증후군'이라는 말을 꽤 자주 듣게 됩니다. 이 용어는 사람들이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하면서 생기는 다양한 심리적, 정서적 문제를 가리키는데요. 가령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다 보면 현실 세계와 디지털 세계의 경계가 모호해져 혼란을 느끼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 점점 더 불안감이나 우울감, 그리고 사회적 고립감 같은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많은 정보를 접한다는 말씀을 하셨는데,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더 많은 정보를 끊임없이 찾게 되는 정보 중독 상태가 될 수 있고, 이는 또 다른 스트레스로 작용하곤 하죠.

    이 증후군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먼저, 일정 시간 동안 디지털 디톡스를 시도하는 것입니다. 하루 중에 정해진 시간에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도록 스스로 규칙을 만드는 것이죠. 또한, 취미나 운동, 명상 등의 활동에 시간을 투자하면서 디지털 기기에서 벗어나 휴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게 필요합니다. 현실 세계에서의 사회적 관계를 강화하는 것 또한 중요해요. 친구나 가족과의 대면 소통을 늘리면서 인간관계를 쌓아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인터넷 미아 증후군은 인터넷과 디지털 기기 사용이 과도한 사람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심리적, 정신적인 문제입니다. 이 용어는 주로 인터넷에 지나치게 의존하거나, 인터넷에서 찾는 정보와 소통에 중독된 상태를 설명할 때 사용돼요

    특히,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에 대한 지나친 의존이 사람들의 사회적 관계나 현실 세계에서의 역할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면, ‘인터넷 미아 증후군’이라는 표현이 쓰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정신적 혼란, 집중력 부족, 사회적 고립 등이 나타날 수 있죠

    한마디로 인터넷 상에서 미아처럼 떠돌아 다니며 고립되었단거죠

    이 증후군은 현대 사회에서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결과로, 사람들은 가상 세계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점차 현실의 중요한 인간관계나 활동에서 멀어지는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가상 공간에서의 대화나 정보 소비가 더 우선시되어 현실에서의 대인 관계나 일상적인 활동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 수 있어요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인 방법으로는 디지털 디톡스, 정신적 건강 관리, 그리고 시간 관리 훈련이 있습니다. 디지털 디톡스는 일정 기간 동안 의식적으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사용을 줄이는 방법이며, 사회적 지원과 심리 상담을 통해 스트레스 관리와 인터넷 사용의 균형을 맞추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죠

    중요한 것은 자신이 디지털 기기 사용에 의존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목표와 계획을 세워 점차적으로 현실 세계에서의 활동을 늘려 나가는 것입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